김정은, 평양 '전위거리' 준공식 참석…딸 주애 두달만에 등장(종합)

최소망 기자 2024. 5. 15. 10: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애, 지난 3월 '향도의 위대한 분들' 논란 후 첫 공개행보
노동신문, 이날도 '향도' 언급…주애 후계자 논란 이어질 듯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수도 평양의 북쪽 관문에 현대적인 새 거리, 전위거리가 웅장하게 솟아올라 의의깊은 준공의 시각을 맞이하였다"라면서 "전위거리 준공식이 지난 14일 성대히 진행됐다"라고 전했다.[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딸 주애와 함께 평양 북쪽에 새 살림집(주택)들이 들어선 '전위거리' 준공식에 참석했다. '향도의 위대한 분들'로 언급돼 후계자 논란이 인 뒤 자취를 감췄던 주애가 두 달 만에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주목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수도 평양의 북쪽 관문에 현대적인 새 거리, 전위거리가 웅장하게 솟아올라 의의깊은 준공의 시각을 맞이하였다"라면서 "전위거리 준공식이 지난 14일 성대히 진행됐다"라고 전했다.

준공식에 참석한 김 총비서는 직접 전위거리 준공테이프를 끊었다.

신문은 "아버지 원수님께서 사랑하는 자제분과 함께 준공식장에 도착"했다면서 주애도 준공식에 참여했음을 알렸다.

딸 주애가 북한 매체에 마지막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 3월 15일 강동종합온실 준공 및 조업식, 항공육전병부대 훈련에 참석했을 때다. 당시 북한 매체들은 주애를 두고 통상 최고 지도자나 노동당에만 지칭하는 '향도'라고 표현했는데, 이후 주애를 둘러싼 후계자 논란이 지속되자 북한 매체들은 향도란 표현을 모두 삭제했다.

주애는 이후 두 달 간 이렇다할 공개행보가 없다가 이번 전위지구 준공식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수도 평양의 북쪽 관문에 현대적인 새 거리, 전위거리가 웅장하게 솟아올라 의의깊은 준공의 시각을 맞이하였다"라면서 "전위거리 준공식이 지난 14일 성대히 진행됐다"라고 전했다.[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신문은 "우렁찬 '만세'의 환호성이 하늘땅을 진감하고 경축의 축포가 날아올라 5월의 밤하늘을 아름답게 장식했다"라면서 준공식은 야간에 진행됐음을 시사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초저녁 쯤부터 준공식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준공식을 기념하는 공연도 열렸다. 김 총비서 옆에 앉은 주애는 공연을 관람하면서 김 총비서와 귓속말을 나눴다.

김 총비서는 이 자리에서 "혁명하는 당에 있어서 자기의 믿음직한 교대자, 후비대를 가지고 있는 것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는 가장 큰 자랑으로 된다"라면서 "조국의 부름 앞에 충실하고 사회와 집단앞에 성실하며 미래를 위해 투신하는 열혈의 청년대군이 있어 사회주의강국건설 위업의 승리는 확정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총비서는 청년건설자들을 만나 얼굴을 쓰다듬어주는 등의 스킨쉽을 했다. 신문은 김 총비서가 "전위거리 건설에서 노력적위훈을 떨친 청년혁신자들을 만나주시고 그들의 수고를 높이 평가해 주시였다"라고 전했다.

리일환 당 비서는 준공사를 통해 "수천세대의 고층, 초고층 살림집들과 봉사건물들이 대건축군을 이룬 큰 규모의 거리를 순수 청년들의 힘으로 단 1년 동안에 일떠세운다는 것은 결코 헐한 일이 아니었다"라면서 "우리 청년들은 원수님의 구상과 결심을 받들어, 우리 수도 평양을 위하여 용감히 떨쳐 일어나 방대한 건설목표를 끝끝내 달성했다"라고 말했다.

'전위거리'는 지난해 2월 김 총비서가 주애와 함께 착공식에 참여해 첫 삽을 뜬 서포지구 새거리를 뜻한다. 청년들이 도맡아 건설을 수행했는데, 청년들을 '청년전위'라고 부르는 데서 거리의 이름이 명명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평양 서포지구에 조성하고 있는 이름과 행정구역의 이름을 확정했으며, 평양시 서포지구에 '전위1동', '전위2동'을 만들고 이를 형제산구역에 소속시키기로 확정했다. 또 전위거리는 '3대혁명전시관 앞 서산네거리부터 삼봉다리까지'로 정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수도 평양의 북쪽 관문에 현대적인 새 거리, 전위거리가 웅장하게 솟아올라 의의깊은 준공의 시각을 맞이하였다"라면서 "전위거리 준공식이 지난 14일 성대히 진행됐다"라고 전했다.[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한편 이날 신문은 주애가 참석한 전위거리 준공소식을 알리면서 '향도'라는 언급을 해 후계자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를 포함한 일부 전문가들을 주애의 후계자 가능성을 배재하지 않고 있다.

신문은 "향도의 우리 당을 따라 언제나 곧바로, 힘차게 나아가며 자존과 번영의 새시대, 위대한 변혁의 김정은시대를 떨치는 청년영웅이 되려는 붉은 혁명전위들의 용솟음치는 패기와 열정이 청춘노래련곡에 실려 울려퍼지며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였다"라면서 청년 건설자들의 성과를 독려했다.

일각에선 주애가 전위거리 착공식에 이어 준공식까지 참석한 것은 '청년 건설자'들과 함께 해 '미래세대 아이콘'이란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somangcho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