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차세대 QD 등 공개…RGB 올레도스 마스크 첫선

최나리 기자 2024. 5. 15. 10:3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ID 2024' 삼성디스플레이 부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연합뉴스)]

삼성디스플레이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4'에서 다양한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고 오늘(15일) 밝혔습니다.

초미세 반도체 입자 '퀀텀닷'만으로 RGB 픽셀을 구현한 차세대 퀀텀닷(QD) 기술, 사용자 시선에 따라 2D와 3D로 자동 전환되는 무안경 3D, RGB 올레도스 증착용 파인실리콘마스크(FSM) 등을 선보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선보인 QD-LED는 초미세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을 이용해 RGB 픽셀을 구현하는 차세대 자발광 기술입니다.

이번에 공개한 노트북 크기의 18.2형 QD-LED는 3200×1800 해상도에 고해상도 프리미엄 모니터에 버금가는 높은 픽셀 밀도(202PPI)와 휘도(250니트)를 구현했습니다.

특히 기술 난도가 높은 친환경 카드뮴 프리 퀀텀닷으로 QD-LED 제품을 개발해 업계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관련 논문은 SID 선정 '올해의 우수 논문상'도 받았습니다.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인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LFD)는 한층 업그레이드됐습니다. 진화된 시선 추적 기술을 통해 시청각 40도 범위에서 사용자 눈 위치에 맞게 3D 화면을 실시간으로 보정해 FHD급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스마트폰이 성장 정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는 I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을 선도할 울트라씬(UT) 기술도 전시했습니다.

UT는 IT용 OLED에 최적화된 초슬림 OLED로, 유리원판 2장이 들어가던 기존 리지드 OLED에서 유리 1장을 생략해 두께와 무게를 줄여 더 얇고 가벼운 노트북 및 태블릿을 만들 수 있는 기술입니다.

전면 산화물 백플레인(Full Oxide Backplane)을 적용해 IT용 패널 중 최초로 구동 주파수를 1헤르츠(㎐)까지 줄였습니다.

또 자회사인 마이크로 OLED 전문기업 이매진과 함께 확장현실(XR) 시장을 겨냥한 올레도스(OLEDoS, OLED on Silicon) 기술을 대거 공개했습니다.

특히 RGB 올레도스 개발의 핵심인 3천500PPI(인치당 픽셀수) 파인실리콘마스크(FSM) 실물을 처음 공개해 주목받았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삼성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강한 내구성을 로봇을 활용한 난타 퍼포먼스를 통해 입증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압도적인 폴더블 경쟁력과 함께 IT, XR 시대를 주도할 혁신적인 차세대 기술을 선보여 기쁘다"며 "이번 행사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무한한 확장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