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100書] 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 여성 앞질렀다

세종=송종호 기자 2024. 5. 15. 09: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남성 육아휴직자가 여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여성을 추월한 것은 2005년 코레일 설립 이후 처음이다.

15일 코레일 따르면 지난 한 해 육아휴직을 한 직원 707명 가운데 50.8%(359명)가 남성 직원이었다.

코레일은 지난 5년간 총 1445명의 남성 직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해 339개 공공기관 중 남성 육아휴직자 수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육아휴직 50.8%가 남직원
339개 공공기관 평균의 2배 이상
3+3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 노력
서울 시내 한 어린이집에서 어린이가 아빠와 함께 등원하고 있다. 연합뉴
[서울경제]

지난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남성 육아휴직자가 여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여성을 추월한 것은 2005년 코레일 설립 이후 처음이다.

15일 코레일 따르면 지난 한 해 육아휴직을 한 직원 707명 가운데 50.8%(359명)가 남성 직원이었다. 공공기관 경영 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전체 공공기관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2만 4489명) 중 남성의 비율은 23.5%였다. 코레일이 두 배 이상 높은 셈이다.

코레일의 남성 육아휴직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244명(39.5%), 2020년 258명(39.4%), 2021년 237명(38.6%), 2022년 347명(48.1%), 2023년 359명(50.8%) 등이다. 5년 새 47% 증가했다. 코레일은 지난 5년간 총 1445명의 남성 직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해 339개 공공기관 중 남성 육아휴직자 수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근속연수가 짧은 저연차 직원들의 육아휴직 비율도 증가세다.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 10명 중 7명가량이 10년 미만의 저연차 직원이었다.10년 미만 근속 직원이 전체 육아휴직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9년 29.9%(73명), 2020년 34.9%(90명), 2021년 53.6%(127명), 2022년 61.3%(213명), 2023년 68.8%(247명)다.

이는 2022년 도입된 ‘3+3 육아휴직제’의 영향이라는 게 코레일 설명이다. ‘3+3 육아휴직제’는 생후 12개월 내의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하면 첫 3개월간 부모 각자에게 통상 임금의 100%(월 200만∼300만 원 상한)를 지급하는 제도다.

세종=송종호 기자 joist1894@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