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2조원 팔아치운 개미들…대신 '이곳'으로 몰렸다

진영기 2024. 5. 15. 0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를 바라보는 개인 투자자의 온도 차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3일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총 1조928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13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해외주식을 총 362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금투세 도입을 우려해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는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으로 발길 돌린 개미들
개인, 이달 들어 삼성전자 5600억원 순매도
서학개미, 미국주식 4300억원 순매수…1위는 스타벅스
사진과 기사 내용은 무관./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를 바라보는 개인 투자자의 온도 차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이들은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고, 미국 주식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에 대한 우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실망감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3일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총 1조928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반도체주를 집중 매도했다. 개인 순매도 1위 종목은 삼성전자다. 이들은 삼성전자 주식을 559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2위는 SK하이닉스(3700억원)이 차지했다. 네이버(1760억원), 셀트리온(1130억원), 삼성중공업(960억원), LG전자(930억원)가 뒤를 이었다.

투자금은 미국 주식으로 쏠리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13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해외주식을 총 362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 주식을 4280억원 순매수해 가장 많이 사들였다. 일본 주식은 450억원, 중국 주식은 2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기간 국내 투자자들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스타벅스였다. 총 1083억원을 순매수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을 각각 689억원, 687억원어치 사들였다. 그 뒤를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384억원), 슈퍼마이크로컴퓨터(293억원), AMD(198억원)가 이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금투세 도입을 우려해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는 것으로 보인다. 금투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로 얻은 소득에 붙는 세금이다. 금융상품의 수익 합계가 5000만원 이상일 경우 20%, 3억원을 초과할 경우 25% 세율을 적용한다. 금투세는 내년 초 도입될 예정이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실망감도 관측된다. 개인 투자자들은 프로그램에 강제성이 없다며 비판한다. 이에 대해 지난 9일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발표된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시장의 실망감이 큰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기업을 옥죄며 빠른 속도로 밀어붙이기보단 분위기와 환경을 만들어가며 기업의 협력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고 했다. 이어 "시장에서 기대하는 강도 높은 정책도 펼쳐나갈 것이며 기업 밸류업은 착실하게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이정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사례를 참고했을 때, 밸류업 관련 지수 출시 직후 모멘텀(상승 동력)은 약해질 수 있다"면서도 "주주환원율, 총주주수익률(TSR)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밸류업 프로그램은 유망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 배당 시즌에도 밸류업 모멘텀은 지속될 것"이라며 "배당절차가 개선되며 배당주 및 가치주에 대한 기대감이 이듬해 주주총회 기간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