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성어기…불법 어구에 몸살

정재훈 2024. 5. 15. 09: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날이 풀리면서 봄 바다에서 조업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덩달아 불법 조업도 늘어 단속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정재훈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령 대천항 인근 해상.

단속반을 태운 고속 단정이 불법 조업이 의심되는 어선을 발견하자 속도를 높힙니다.

[충남도 특별사법경찰 : "선장님 안녕하세요. 도청 지도선입니다. 잠시 배 좀 붙여볼게요."]

어선에 오르자 사용이 금지된 2중 이상의 무허가 불법 자망 어구가 눈에 띕니다.

[불법조업 선장/음성변조 : "한 번만 봐주세요. 솔직히 엊그제 조업정지 끝나서 나왔어요."]

이미 한 차례 단속돼 조업이 정지된 상황에서 또 불법 어구로 조업하다가 적발된 겁니다.

[충남도 특별사법경찰 : "단속당하셨으면 (불법 어구를) 지금 이미 내려놓고 오셨어야죠. 또 그러시면 안 되죠."]

단속정에 적발된 어선은 이곳 본선으로 옮겨져 불법 조업행위에 대한 조사를 받게 됐습니다.

불법 어구 사용뿐 아니라 5월 금어기 어종인 살오징어와 주꾸미를 잡아 적발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허가를 받지 않은 잠수 장비로 해삼 350kg을 불법 포획한 잠수부 일당이 해경에 붙잡히기도 했습니다.

[윤기병/충남도 어업지도선 운영팀장 : "육상과 해상, 전체적인 지역에서 불법 어로행위와 불법 어구, 불법 어획물 판매 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있습니다."]

불법 조업의 규모는 계속 늘고 있고, 방식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와 자치단체, 해경은 교차 단속으로 포위망을 좁혀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