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경매시장 '찬바람'…10억대 대장 아파트도 줄줄이 '유찰'

조용훈 기자 2024. 5. 15. 0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부산, 울산 등 지방 주요 도시의 대장 아파트들이 잇따라 법원 경매에 부쳐지고 있다.

반면 시세 대비 수억 원 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로 새 주인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세 대비 저렴·권리 하자 없는 물건도 '입찰자' 전무
최초 감정가 대비 '뚝뚝'…"고금리 여파, 지역 간 편차 심화"
부산 남구 이기대해안산책로에서 바라 본 해운대 방면 상공이 장마전선 영향으로 먹구름이 머물고 있다. (자료사진) 2022.6.28/뉴스1 ⓒ News1 김영훈 기자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최근 부산, 울산 등 지방 주요 도시의 대장 아파트들이 잇따라 법원 경매에 부쳐지고 있다. 반면 시세 대비 수억 원 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로 새 주인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14일 대법원 경매 정보에 따르면 지난 7일 첫 매각이 진행된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아이파크 157.51㎡(47.65평·4층) 물건은 입찰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유찰됐다.

해당 물건의 감정가격은 16억 8500만 원으로 권리상 하자가 없는 깨끗한 물건이다. 특히 현재 시세(22억~25억 원) 대비 최대 8억 원 이상 저렴한 가격임에도 아무도 입찰에 응하지 않은 셈이다.

같은날 입찰에 부쳐진 부산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두산위브더제니스 104.49㎡(31.61평·27층) 역시 유찰되면서 내달 2회차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물건의 감정가격은 12억 6000만 원으로, 층과 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근 시세는 최저 12억 원에서 16억 원을 형성하고 있다.

또 남구 용호동 오륙도에스케이뷰아파트 174.11㎡(52.67평·2층) 물건도 2차례 유찰되면서 최초 감정가 대비 64%(6억 4960만 원)까지 가격이 떨어진 상태다. 해당 물건은 현재 보증금 2억 원의 임차인이 살고 있지만, 대항력이 없어 명도 부담도 없다.

울산에서는 남구 신정동 문수로아이파크 134.4㎡(40.65평·17층) 물건이 1회 유찰되면서 최초 감정가(14억 원) 대비 70%(9억 8000만 원) 가격에 새 집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한 법무사 사무소에 경매 상담 안내가 붙어 있다. 2023.4.20/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들 지역 경매 입찰장에 이처럼 찬 바람이 부는 이유는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6월 셋째주(20일 기준) 하락 전환한 부산 아파트 가격은 최근까지도 하락을 면치 못하면서 2년째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부산은 해운대구 좌·우동 등에서 공급 물량 영향이 보이고, 동구는 초량·수정동 위주로, 부산진구는 연지동 준신축 및 개금·당감동 위주로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울산은 지난해 12월 셋째주(18일 기준) 하락 전환한 이래 하락·보합을 오가며 침체장이 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지역의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도 일제히 하락세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의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77.8%로 전월 대비 5.1%p(포인트) 하락해 한 달 만에 다시 80% 선을 밑돌았다. 울산 역시 전월 대비 2.4%p 하락한 87.2%로 집계됐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경매물건이 증가하는 가운데서도 선호도가 높은 지역과 단지 위주로만 낙찰가율이 강세를 띠고 있다"며 "지난달 지방 5대 광역시의 낙찰가율을 분석해 보면, 대전과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상승한 반면 부산, 울산, 광주는 일제히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joyongh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