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TR "對중국 관세 부과 이후 한국 반도체 등이 중국산 대체"

김동현 2024. 5. 14. 2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반도체 등 첨단산업이 미국에서 트럼프 행정부 때 부과하고 바이든 행정부가 유지해온 대(對)중국 관세 부과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평가됐다.

USTR은 301조 관세 부과 이후 컴퓨터 장비와 전자 장비,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미국 내 생산이 증가했으며 멕시코, 한국, 말레이시아, 대만 등 다양한 수입처가 중국을 대체해왔다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태양광 패널 공장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한국의 반도체 등 첨단산업이 미국에서 트럼프 행정부 때 부과하고 바이든 행정부가 유지해온 대(對)중국 관세 부과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평가됐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4일(현지시간) 공개한 무역법 301조 평가 보고서에서 2018년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이후 수입처 변화 등 경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가 수행한 이 조사는 관세 부과 이후 해당 산업에서 중국산 수입이 13%(수입액 기준) 감소한 반면 중국 외의 국가에서의 수입이 6.0∼3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반도체와 기타 전자 부품'에서는 중국산 수입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간 연평균 20.5% 감소했다.

대신 한국에서의 수입이 4년간 연평균 1.9%씩 늘었다.

말레이시아(3.8%), 대만(2.2%), 기타국(6.5%) 수입도 증가했다.

배터리와 광섬유 케이블 등을 포함한 '기타 전자 장비와 부품'에서도 중국산 수입이 7.0% 감소한 반면 한국산 수입이 0.4% 늘었다.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한국에서의 수입이 0.1% 증가했다.

'컴퓨터 장비'와 '자동차 부품'에서는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USTR은 301조 관세 부과 이후 컴퓨터 장비와 전자 장비,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 미국 내 생산이 증가했으며 멕시코, 한국, 말레이시아, 대만 등 다양한 수입처가 중국을 대체해왔다고 평가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301조 대중국 관세 영향 평가 보고서 [USTR 보고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blueke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