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 내세우면서…“스마트기기 분실·수리 배상은 교사 몫?”

공민경 2024. 5. 14. 21: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내일(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선생님들이 매일 매일 교육현장에서 맞닥뜨리는 고충이 여러가진데 최근에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패드 같은 스마트기기를 관리하는 일로 골칫거리라고 합니다.

분실할 경우 교사의 사비로 채워넣는다고 하는데 공민경 기자가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교사인 A 씨는 3년 전부터 수업에서 노트북 같은 스마트 기기를 쓰지 않습니다.

학생이 빌려 갔다 분실한 스마트 패드를 사비로 사서 채웠기 때문입니다.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음성변조 : "똑같은 모델로 38만 원을 주고 사다 채워 본 경험이 있습니다. 내 돈이 다 나가야 하는 건데 이걸 무서워서..."]

원래는 교육청에 파손이나 분실 보고를 해야 하지만, 징계만 받을 수 있다는 부담에 그냥 덮고 넘어가자는 게 일반적이란 겁니다.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음성변조 : "괜히 보고해서 징계도 받고 배상도 하지 말고, 그냥 조용히 우리끼리 우리가 채워 넣자."]

다른 초등학교에서 정보부장을 맡았던 B 교사도 이해 못 할 경험을 했습니다.

본인이 없던 시기에 사라진 스마트패드 5대를 채우라는 교장의 황당한 요구를 받았습니다.

[전북 지역 초등학교 교사/음성변조 : "책임자인 네가 다 물어야지, 300만 원. 너를 위해서 선생님들 설득할 테니까 n 분의 1로 하자."]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경우 교사들이 파손이나 분실 책임을 떠안다 보니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교육도 꺼려지게 된다는 겁니다.

[전북 지역 초등학교 교사/음성변조 : "항상 괴리감이 드는 거예요. 1년 내내 충전기 안에 들어 있어요, 문도 잠가 놓고."]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 유지 보수와 결함·파손 관련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했고 교육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나은종/교육부 디지털인프라담당관 : "분실이나 파손 시 처리 기준과 방법 등을 포괄한 '디바이스 전주기 관리 가이드라인'을 올 하반기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현재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 대비 스마트기기 보급률은 67%에 달합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 정준희/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 제작:고석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공민경 기자 (ball@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