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장 슈타커의 철학 후세대에 전하려"… 첼로 페스티벌 여는 양성원·쓰쓰미 쓰요시

김소연 2024. 5. 14. 18: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노스 슈타커 선생님은 연주와 교육은 자동차의 두 바퀴 축이어서 하나라도 없으면 움직일 수 없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번 행사로 후학 양성에 헌신적이었던 선생님의 방식으로 후세대에게 보답하고 싶습니다."

슈타커와 접점이 있는 20여 명의 첼리스트가 한국과 일본 무대에 나눠 서는 특별한 음악축제가 열린다(7월 3~5일 롯데콘서트홀·5~7일 일본 도쿄 산토리홀). 산토리홀 대표인 쓰쓰미와 양성원(57) 연세대 음대 교수가 기획한 '야노스 슈타커 탄생 100주년 기념 첼로 페스티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월 롯데콘서트홀·산토리홀에서
'야노스 슈타커 탄생 100주년 기념 첼로 페스티벌'
야노스 슈타커 탄생 100주년 기념 첼로 페스티벌의 공동 예술감독인 쓰쓰미 쓰요시 산토리홀 대표와 양성원 연세대 교수. 롯데문화재단 제공

"야노스 슈타커 선생님은 연주와 교육은 자동차의 두 바퀴 축이어서 하나라도 없으면 움직일 수 없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번 행사로 후학 양성에 헌신적이었던 선생님의 방식으로 후세대에게 보답하고 싶습니다."

일본 첼리스트 쓰쓰미 쓰요시(82)는 스승인 헝가리 태생의 첼로 거장 야노스 슈타커(1924~2013)를 떠올리며 미소를 지었다. 슈타커와 접점이 있는 20여 명의 첼리스트가 한국과 일본 무대에 나눠 서는 특별한 음악축제가 열린다(7월 3~5일 롯데콘서트홀·5~7일 일본 도쿄 산토리홀). 산토리홀 대표인 쓰쓰미와 양성원(57) 연세대 음대 교수가 기획한 '야노스 슈타커 탄생 100주년 기념 첼로 페스티벌'이다. 쓰쓰미 대표는 1960년대에, 양 교수는 1980년대에 슈타커와 사제 관계로 인연을 맺었다.

페스티벌의 공동 예술감독인 두 사람은 14일 롯데콘서트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슈타커 선생님에게 배운 것을 다음 세대로 물려주고 싶다"고 축제 취지를 밝혔다. 양 교수는 "'횃불을 계속 들고 가라(Keep Carrying the torch)'는 선생님의 가르침은 내 삶의 이정표가 됐다"며 "엔터테이너가 아닌 인류 유산을 대표하는 예술가가 돼야 한다는 그의 철학을 기리고 싶어 축제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K클래식 열풍 예견한 첼로 거장 슈타커

야노스 슈타커와 양성원. 롯데문화재단 제공

20세기 대표 첼리스트이자 교육자인 슈타커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음반으로 1998년 그래미상을 받았고 150장이 넘는 음반을 남겼다.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시카고 심포니 등에서 첼로 수석으로 활동했고, 인디애나 음대에서 수많은 첼리스트를 길러냈다.

페스티벌에는 슈타커의 제자와 그 제자의 제자들이 함께한다. 게리 호프만, 올레 아카호시 예일대 교수 등 세계 유명 연주자들과 미치아키 우에노, 한재민 등 차세대 연주자들을 아우른다. 무반주 솔로 첼로부터 듀오, 앙상블, 오케스트라 협주곡까지 첼로로 총망라된 무대와 마스터 클래스, 강연도 마련된다.

슈타커는 생전에 아시아 국가를 자주 찾았다. 한국엔 1967년 이후 수차례 다녀갔다. 쓰쓰미 대표는 슈타커가 "한국의 음악 미래를 잘 돌보라"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국 학생들의 부단한 노력과 부모의 헌신적 지원을 보면서 클래식 강국 한국의 바탕을 직감하신 듯합니다. 타협을 몰랐던 선생님의 수업은 무척 힘들었는데, 그 정확한 눈으로 한국의 미래를 예견하신 게 아닐까요."

야노스 슈타커 탄생 100주년 기념 첼로 페스티벌의 공동 예술감독인 쓰쓰미 쓰요시 산토리홀 대표와 양성원 연세대 교수가 14일 롯데콘서트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롯데문화재단 제공

김소연 기자 jollylif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