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필수요소된 'AI 역량'···직장인 4명 중 3명 "업무에 활용"

양지혜 기자 2024. 5. 14.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일자리 환경이 크게 변화한 가운데 전 세계 근로자 4명 중 3명이 업무에 AI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31개국에서 3만 1000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는 생성형 AI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직원들과 달리 기업들은 비용 등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AI 도입이 더뎌 개인과 회사 간 지체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MS 글로벌 업무동향지표 2024
韓기업은 생성AI 전면 도입 9%
근로자 대비 활용도 크게 떨어져
'MS 365 코파일럿' 韓 버전 공개
조원우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대표가 14일 서울 광화문 본사에서 ‘업무동향지표 2024’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MS
[서울경제]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일자리 환경이 크게 변화한 가운데 전 세계 근로자 4명 중 3명이 업무에 AI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I 기술자의 역할이 중요해지며 경험보다 AI 역량을 높게 평가하는 등 채용 시장의 흐름도 바뀌는 모양새다. 국내 근로자들이 업무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지만 기업들의 활용 정도는 아직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한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발표한 ‘업무동향지표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근로자의 75%가 직장에서 AI를 사용하고 있으며 6개월 전부터 AI를 사용한다는 응답은 46%로 집계됐다. 한국의 경우 근로자의 73%가 직장에서 AI를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31개국에서 3만 1000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는 생성형 AI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직원들과 달리 기업들은 비용 등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AI 도입이 더뎌 개인과 회사 간 지체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의 지원 없이 AI를 사용하는 전 세계 근로자는 78%였으며 한국의 경우 85%로 비중이 더 높았다. 반면 리더의 79%(한국은 80%)가 AI 도입이 경쟁력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이는 다른 조사에서도 확인되는 현상이다. 삼일PwC가 이날 발간한 ‘생성형 AI를 활용한 비즈니스의 현주소’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경영자의 60% 이상이 생성형 AI를 도입할 의향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9%만이 AI를 전면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성미 한국 MS 모던워크 비즈니스총괄은 “회사 차원에서 AI를 준비하기 전에 직원들이 더 빨리 움직이고 있다”며 “직원들이 AI를 표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상황으로 각 회사들의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AI의 등장은 채용 시장도 변화시켰다. 리더 중 66%가 AI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지원자를 채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했으며 한국의 경우 해당 비율이 70%에 달했다. 경력보다 AI 역량이 더 중시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리더 10명 중 7명은 ‘경험은 부족하지만 AI 기술을 갖춘 지원자를 채용하고 싶다’고 답했다. AI 기술자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뛰면서 인재 확보에 우려를 표한 리더는 66%로, 한국의 경우 70%를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이 이어지면서 링크드인 프로필에 AI 관련 기술을 추가한 회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MS는 이날 ‘MS 365 코파일럿’의 한국어 버전을 공개했다. 기존 생성형 AI와는 달리 워드·엑셀·PPT와 같은 MS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보다 실용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현지 한국 MS 모던워크 GTM은 “캘린더 일정, 참석자, 공유한 메일 내용, 다양한 파일들을 기반으로 정확도 높은 답변을 내놓을 수 있다”며 “부조종사(코파일럿)라는 뜻처럼 업무 효율성을 높이도록 돕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양지혜 기자 hoje@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