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가로보틱스-대구경북과기원, 딥러닝보다 빠른 '초차원 연산'(HDC) 실용화

정주영 2024. 5. 14. 17: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챗GPT 등 인공지능(AI) 학습을 주도하는 딥러닝 방식이 아닌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을 통한 새로운 AI 학습법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실용화됐습니다.

코가로보틱스는 "연구진은 딥러닝을 대신해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이라는 새로운 AI 학습 방법을 실내자율주행 로봇에 적용했다"면서 "회피, 추종, 순회 주행 등 주요한 자율주행기능을 학습시킬 경우 딥러닝 대비 30분의 1 가격의 컴퓨터를 사용해 15배 빠른 속도로, 20분의 1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동일한 학습 및 추론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실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챗GPT 등 인공지능(AI) 학습을 주도하는 딥러닝 방식이 아닌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을 통한 새로운 AI 학습법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실용화됐습니다.

코가로보틱스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세계 최대 로봇학회인 '국제 로봇 및 자동화 학술대회'(ICRA·International Conference for Robot & Automation)의 검증을 거쳐 오늘(14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ICRA 연례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을 공식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일홍 코가로보틱스 대표이사(오른쪽)가 14일 일본 요코하마 ICRA 연례 콘퍼런스에서 김예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논문 제목은 '인간 두뇌에서 영감을 얻은 초차원연산 : 바퀴 달린 로봇의 감각 운동 제어를 위한 경량 기호 학습'으로, 코가로보틱스의 서일홍 대표이사 등 4명의 연구진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김예성 교수 등 6명의 연구진, UC Irvine의 Moshen Imani 교수 등 2명 등 총 12명의 연구진이 1년 6개월여에 걸친 연구 끝에 공동 집필한 국제 논문입니다.

코가로보틱스는 "연구진은 딥러닝을 대신해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이라는 새로운 AI 학습 방법을 실내자율주행 로봇에 적용했다"면서 "회피, 추종, 순회 주행 등 주요한 자율주행기능을 학습시킬 경우 딥러닝 대비 30분의 1 가격의 컴퓨터를 사용해 15배 빠른 속도로, 20분의 1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동일한 학습 및 추론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실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 인간 두뇌의 연산 방식을 모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초차원 벡터(Vector, 메모리 개념)에 모든 사물과 개념, 함수, 현상, 사건 등을 대응시키고, 이 벡터들을 서로 결합하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원하는 추론 결과를 도출하는 학습 방식입니다.

아울러 코가로보틱스는 지난달 HDC현대산업개발이 짓는 아아파크 아파트의 도어 개폐 시스템에 '초차원 연산'(HDC·Hyper Dimensional Computing) 기반의 인식 기술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주민들이 스마트폰 앱에 자신만의 동작이나 음성 명령을 학습시켜 공동 현관과 개별 현관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습니다.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