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베트남 디안시와 자매결연 맺어…“동반 성장 및 투자 확대 기대”

서울앤 2024. 5. 14. 16: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대문구가 베트남 디안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서대문구 방문단은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2박 4일 일정으로 베트남 빈증성(BINH DUONG PROVINCE) 디안시(DIAN CITY)를 찾았다.

지난 13일 디안시청에서 열린 자매결연식에는 이성헌 구청장을 비롯한 서대문구 방문단과 호 꾸앙 디엡(Ho Quang Diep) 당서기장, 보 반 홍(Vo Van Hong) 시장 등 디안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가 베트남 디안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서대문구 방문단은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2박 4일 일정으로 베트남 빈증성(BINH DUONG PROVINCE) 디안시(DIAN CITY)를 찾았다. 지난 13일 디안시청에서 열린 자매결연식에는 이성헌 구청장을 비롯한 서대문구 방문단과 호 꾸앙 디엡(Ho Quang Diep) 당서기장, 보 반 홍(Vo Van Hong) 시장 등 디안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두 도시는 이날 자매결연을 통해 도시관리, 인구, 환경, 교통, 녹지, 디지털 전환, 스마트 도시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행정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경제 교류 및 기업 활동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교환하고 기업들의 사업 활동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문화, 교육, 관광,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공동 번영과 발전을 추구하기로 했다.

협약식에서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빈증성 디안시와 서울시 서대문구는 공통점이 많은 도시로 이번 협약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어져 상호 동반자적 관계로 성장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호 꾸앙 디엡 디안시 당서기장도 “두 도시 간 전략적 협력 체결이 문화, 예술, 교육, 경제개발, 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기회를 열어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보 반 홍 디안시장은 “사업과 무역, 서비스 등이 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안시가 서대문구와 돈독한 관계를 맺고 서로 지지하며 발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대문구청 제공

베트남 동남부 지방 빈증성에 속한 디안시는 빈증성의 산업, 경제, 교육 중심지로 교통 인프라 개발과 스마트시티 건설 등을 위해 외국인 투자와 기업 유치를 활발히 추진 중이다.

베트남 최대 도시인 호찌민시와 인접해 있으며 인구는 50만5천여명으로 서대문구의 약 1.6배, 면적은 60.1㎢로 서대문구의 약 3.4배에 달한다.

서대문구는 유수 대학이 위치하고 교통 인프라 조성과 활력 넘치는 도시개발을 추진하는 등 두 도시의 다양한 공통점과 관심사를 반영해 대학생 해외봉사와 문화체험, 베트남 내 한국기업체 연수, 우수 행정 정책 공유 및 벤치마킹, 중소기업 판로 개척 지원, 문화 공연단과 청소년 상호 방문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자매결연식에 앞서 서대문구 방문단은 13일 오전 빈증성 행정센터를 방문해 마이 훙 융(Mai Hung Dung) 수석 부성장 등 빈증성 관계자들과 환담했다.

또 빈증성에 소재한 인프라 개발 공기업 베카멕스(Becamex) 본사를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이 구청장은 향후 관내 개발 추진 부지에 대한 반도체 및 바이오 연구단지와 유스호스텔 등의 건립 투자를 홍보하고 외국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에 필요한 행정절차 등을 안내했다.

이동구 서울& 온라인팀장 donggu@hani.co.kr

한겨레 금요 섹션 서울앤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