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야 라인사태 '반일 프레임'에 "네이버 이익 최우선해야"

이재우 기자 2024. 5. 14. 15: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가 일본정부의 지분 조정 요구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를 두고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정 의장은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네이버 측 의견을 청취했고 국민과 기업의 이익이 최우선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클라우드 서버가 제3자로부터 공격받아 라인앱 이용자 정보 등 약 51만9000건이 유출된 것을 빌미로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등 참여 회원들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역사, 영토, 기업까지 강탈! 일본 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마친후 기시다 일본총리의 라인 강탈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4.05.14.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여야가 일본정부의 지분 조정 요구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를 두고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은 윤석열 정부의 대일 굴종외교의 실패로 규정하고 연일 반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네이버의 이익이 최우선돼야 한다면서 '반일 프레임'은 사태 해결을 꼬이게 할 뿐이라고 야권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국민의힘은 14일 정정식 정책위의장 명의 입장문을 내어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 정 의장은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네이버 측 의견을 청취했고 국민과 기업의 이익이 최우선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한다.

정 의장은 "우리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향후 네이버가 입장을 조속히 정해 정부와 더욱 유기적으로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어 "지금까지의 네이버 측 의사를 존중해왔고 존중할 것이다. 일본 정부와 접촉해 온 우리 정부의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앞으로도 해외 진출 기업의 이익 보호를 위해 여당으로서 할 수 있는 조치를 정부와 함께 적극적으로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에서는 "라인야후 사태를 빌미로 반일 공세에 나서는 것이 국익에 반하는 것(윤상현 의원)"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통령실도 전날 성태윤 정책실장 브리핑에서 "정부는 우리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최우선에 놓고 필요한 모든 일을 한다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며 "네이버의 추가적 입장이 있다면 그에 대해서도 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네이버 결정을 전적으로 존중하되, 불합리한 차별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일본 정부의 네이버를 향한 압박을 정부가 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야권을 중심으로 제기되자 네이버가 입장을 정하면 지원하곘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오는 16일 라인야후 사태 등 현안 질의를 위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전체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민주당 소속 과방위원들은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가 행정지도를 통해 '자본관계를 재검토'하라며 네이버를 압박했지만, 우리 정부는 '지분매각이라는 표현이 없다'는 말장난으로 일본의 주장을 두둔했다"고 날을 세웠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경제주권을 포기하는 정부가 제대로 된 정부냐"며 "경제주권이 침해받는데 아무 목소리 못 내는 정부가, 영토주권에 대한 공격을 받을 때 싸울 수 있겠는가. 이러다가 독도마저 내주는 거 아니냐는 국민 우려에 귀 기울이길 바란다"고 힐난한 바 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같은날 당직자 등과 함께 독도에 방문해 라인야후 사태 등을 언급하며 "과거 박정희, 이명박, 박근혜 정부도 친일정권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이 정도로 노골적이지는 않았다. 굴종도 이런 굴종이 없다. 친일 정권을 넘어 종일, 숭일 정권"이라고 힐난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클라우드 서버가 제3자로부터 공격받아 라인앱 이용자 정보 등 약 51만9000건이 유출된 것을 빌미로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고 있다.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은 지난 3월 라인야후가 네이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리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ronn108@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