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디지털 인프라 개선 위해 963억 투입…AI교과서 준비 박차

윤홍집 2024. 5. 14.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가 열린 지난해 9월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교육부 부스에서 디지털 기반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초·중등 디지털 수업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총 96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2025년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교내 디지털 인프라를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전국 초·중·고 학교를 대상으로는 디지털 기기와 네트워크 접속 장애를 점검하고, 전담 인력을 투입해 업무 부담을 경감한다.

교육부는 14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초·중등 디지털 인프라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중앙 정부가 학교 디지털 인프라와 관련해 종합 계획을 수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계획은 특히 AI디지털교과서 구동 환경에 걸맞게 질적 개선을 추진하고, 인프라 관리 부담을 경감하는 등 학교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데 무게가 실렸다. 총 예산으로는 963억원이 투입된다.

현재 전국 초·중·고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기기의 양적 보급은 어느 정도 이뤄진 상태다. 지난해 12월 기준 초3 이상 학생의 스마트기기 보급률은 79.1%를 기록했다. 부산(109.8%), 광주(104.1%), 대전(118.4%), 충북(100.3%), 경북(103.0%), 경남(116.1%)의 스마트기기 보급률은 100%를 넘었다. 반면 서울의 스마트기기 보급률은 49.1%에 그쳐 지역마다 편차가 있었다.

교육부는 먼저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기기 보급·관리 환경을 만들 방침이다. 2025년부터 본격 도입되는 AI디지털교과서가 학교에서 사용 중인 디지털 기기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실제 수업환경과 유사한 '디지털 기기 실험실'을 구축하고 디지털 기기의 작동 여부 등을 사전 점검하겠다는 설명이다.

또한 17개 시도교육청별 점검지원단을 구성해 전국 초·중·고에 보급된 디지털 기기 관리·활용 실태를 전수조사한다.

디지털 기기의 보급-유지·관리-폐기 등 단계별 공통기준과 절차를 포괄하는 디지털 기기 전 주기 가이드라인도 만든다. 디지털 매체 과노출 예방과 유해 정보 차단 등 사용자를 위한 기기 관리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올해 전국 초·중·고 6000개교에는 총 600억원(교당 1000만원)을 지원해 네트워크 속도와 접속 장애 등을 점검한다. 데이터 전송량의 과부하로 인한 접속장애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학교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관제시스팀의 기능을 확대하고,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보안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통합관제 시스템도 올해 하반기 구축한다.

학교 현장의 디지털 기기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전담 인력도 투입된다. 오는 하반기에는 교원의 AI디지털교과서 수업을 보조하고, 디지털 기기를 전담하는 디지털튜터가 1200명 배치된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교원과 학생이 기기 관리 부담에서 벗어나 학습 활동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관내 학교의 네트워크 품질을 사전 점검하고 장애 발생 시 조치하는 '기술지원기관'도 전국 시도교육청에 170곳 설치, 시범운영한다. 아울러 기술지원기관에 소속된 디지털 테크 매니저가 관내 학교의 인프라 장애 사전관리부터 사후대응까지 전 주기 관리를 전담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디지털 튜터는 기본적으로 학교 단위라고 보면 되고, 테크 매니저는 지역 단위 인력으로 보면 된다"라며 "기존의 유지보수업체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후대응하는 차원에서 있었다. 이번에는 사전관리에 역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시도교육청은 학교 디지털 인프라 전담지원조직을 운영하고 인프라 정책 간 연계를 강화한다. 교육부는 관계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현장 의견이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가칭 '초·중등 디지털 인프라 전문위원회'를 운영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내년도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본격 도입을 앞두고, 학교 디지털 인프라의 질적 수준은 최대한 높이고, 교원의 관리 업무 부담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제공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