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과 ‘쇄신’ 바라는 총선 민심과 멀어지는 여야 행보

2024. 5. 14. 11: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10 총선 이후 여야 행보가 실망스럽다.

쇄신을 하겠다며 새롭게 발탁한 대통령실 참모의 상당수가 총선에서 낙천·낙선한 친윤 인사들이다.

이런 구조로 당을 쇄신하고 총선 패배를 넘어설 차기 지도부를 꾸릴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여야 정치권은 총선 민심을 거듭 되새겨보기 바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10 총선 이후 여야 행보가 실망스럽다. 22대 총선에서 확인된 민심의 방향은 자명하다. 정부와 여당에는 대대적인 혁신을 요구하며 소통과 협치를 당부했다. 반면 크게 승리한 야당에는 극한 대립을 자제하고 민생을 위한 정치에 더 매진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여야의 행보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은 ‘친윤’ 중심으로 다시 재편되고 원내 최대 의석을 확보한 더불어민주당은 이른바 ‘명심(明心) 경쟁이 절정이다. 겸허히 받들겠다는 총선 민심은 여야 어디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참담한 총선 성적표를 받아든 윤석열 대통령의 일성은 ‘달라지겠다’는 것이었다.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변화가 많이 부족했다”며 달라질 것을 거듭 다짐했다. 하지만 실제 행보를 보면 국민이 얼마나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쇄신을 하겠다며 새롭게 발탁한 대통령실 참모의 상당수가 총선에서 낙천·낙선한 친윤 인사들이다. 그 중엔 대통령실에서 근무하다 사직하고 총선에 출마했다가 복귀한 이들도 있다. 대통령이 신임할 수 있는 인사를 기용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참모진이 측근 일색이면 변화와 혁신은 멀어지게 마련이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다를 게 없다. 당장 비상대책위원회만 해도 인적 구성에서 과감한 쇄신 의지를 읽어내기가 어렵다. 황우여 위원장을 필두로 비대위원이 7명이지만 정치권에선 친윤 색채가 짙은 인사가 많다는 평가다. 원내 지도부인 추경호 원내대표와 성일종 사무총장, 정점식 정책위의장 역시 윤 대통령과 가까운 사이로 꼽힌다. 이런 구조로 당을 쇄신하고 총선 패배를 넘어설 차기 지도부를 꾸릴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실상 ‘일극 체제’가 됐다. 총선 승리를 이끌었으니 위상이 높아질 수는 있으나 그 정도가 지나쳐 보인다. 16일 치러지는 국회의장 경선은 추미애 당선인으로 사실상 귀결된 듯하다. 이 대표의 마음이 추 당선인 쪽으로 기울자 후보들이 아예 앞다퉈 사퇴하는 모습이 연출됐다. 입법부 수장이자 국가 의전 서열 2위의 막중한 자리가 특정인의 의중에 따라 좌우되는 것은 결코 정상이 아니다. 8월로 예정된 당 대표 선거도 이 대표의 연임론이 이미 파다하다. 이쯤이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당(私黨)이나 다름없다. 총선에서 승리한 것은 정부 심판론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지 민주당이 잘해서가 아니다. 실제 민주당의 지지도는 큰 변화가 없다. 결코 오만하지 말라는 민심을 간과한다면 민주당 역시 엄청난 역풍에 직면할 것이다.

총선이 끝났지만 그 이후가 더 중요하다. 정치가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국민의 삶이다. 여야 정치권은 총선 민심을 거듭 되새겨보기 바란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