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신지호 “‘라인야후’ 사태 장본인은 文… 2019년에 손정의 만나지 않았나”

김동환 2024. 5. 14. 10: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지호 전 국민의힘 의원, ‘정치시그널’에서 “이 구조를 만든 사람이 누구냐… 바로 文”
‘정쟁 이슈’로 네이버 사업 계획 어그러졌다 취지 주장도…“AI 투자 자금 부족하다던데”
네이버의 지분 매각→차세대 주력 AI 사업 강화에 도움 일부서 주장
‘아시아의 IT 기업’ 꿈은 물거품 될 수도…동남아 시장 확장 기회 놓칠 가능성까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뉴스1
 
자본 관계 재설정을 포함한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한 ‘라인야후 사태’ 속에서 야권의 비난이 정치적 공세라고 여권이 반박했다. 상대가 일본이라는 점을 악용했다면서다. 라인야후 모회사 A홀딩스 지분을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절반씩 갖게 한 장본인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라는 지적이다.

신지호 전 국민의힘 의원은 13일 채널A ‘정치시그널’에서 “지금 라인야후의 최대 주주, 65% 지분을 갖고 있는 게 에이(A)홀딩스 아니냐”며 “에이홀딩스를 라인하고 소프트뱅크하고 반반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구조를 만들어준 사람이 누구냐”며 “문재인 전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손정의(孫正義·일본 이름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이 문 전 대통령 만났던 2019년 7월을 회상했다.

문 전 대통령 예방 후, 손 회장이 정부 주선으로 서울 성북동 한국가구박물관에서 재계 총수들과 두 시간 반이 넘게 회동했고, 이 일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경영통합이 같은 해 11월 이뤄졌으니 그 ‘산파’ 역할을 문 전 대통령이 했다는 신 전 의원의 비판이다.

신 전 의원은 “제가 파악하기로는 네이버가 AI(인공지능)에 투자할 자금이 부족해서 그거를 매각할 의사가 이전부터 있었다고 한다”고도 덧붙였다. 애초 사업 계획에 ‘반일(反日) 프레임’이 씌워지면서 정쟁 이슈가 되는 바람에 네이버가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라면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A홀딩스 지분 전부 매각에서 일부 사업 양수도까지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일본 시장에서 ‘투자 후 출구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신 전 의원의 ‘매각 의사’ 전언과 맥락이 같다.

다만, 네이버의 지분 매각이 자금 확보로 이어져 AI 등 신사업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아시아의 네이버’를 향한 해외시장 전략에는 큰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공존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에 대해 지난 3일 컨퍼런스콜에서 “따를지 말지를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저희가 중장기적 사업 전략에 기반해서 결정할 문제로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해 지분 매각 가능성을 열어뒀다는 해석을 낳았었다.

라인야후 지분 64.5%를 보유한 A홀딩스 지분을 절반을 가진 네이버는 라인야후 시가총액 약 25조원 중 32.3%에 달하는 8조1000억원가량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보태 지분 전부를 매각하면 10조원 넘게 챙길 수 있다는 관측도 일부에서 나온다. 네이버가 실제 라인 지분 매각에 나서면 인수·합병(M&A) 등을 위한 실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다.

네이버가 차세대 주력 사업으로 꼽는 AI 사업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네이버가 삼성전자와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필요 없는 AI 가속기 ‘마하1’을 공동 개발 중이고, 상반기 중 인텔, KAIST와 AI공동연구센터를 설치하는 등 AI칩 확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당장 사업에 활용할 수는 없어 단기간에는 가격이 천정부지인 AI 칩을 대량 구매해야 하는 처지다.

그렇다고 해도 눈앞의 재무적 이익보다 장기적인 국내외 사업 전략의 득실을 따져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라인야후를 잃으면 일본과 동남아 시장 진출을 통해 이루려던 ‘아시아의 IT 기업’ 꿈이 물거품 될 수 있어서다. 시작이 검색엔진과 포털 서비스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네이버의 정체성이 무엇일지는 금세 떠오른다. 게다가 당장 라인야후와 관계가 단절되면 디지털라이제이션과 클라우드 전환이 본격화되는 일본 IT 시장에서 네이버가 성장할 기회를 놓칠 수 있고, 동남아 시장으로의 확장 기회마저 소프트뱅크에 넘기는 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네이버는 2011년 6월 일본에서 라인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9600만명에 달할 정도로 국민 메신저로 성장시켰으며 태국(5500만명), 대만(2200만명), 인도네시아(600만명)를 포함해 아시아 시장에서 2억명의 라인 이용자를 확보했다.

서울 시내 한 라인프렌즈 매장 모습. 뉴시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네이버의 중장기적 사업 전략이 라인야후 지분 조정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 라인야후의 정보 유출 재발방지책 제출 시점을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장인 중앙대 위정현 다빈치가상대학장은 “현재로서는 네이버가 제값을 못 받은 채 라인야후 지분을 넘겨줄 가능성도 있다”며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에서라도 라인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7월1일까지인 일본 총무성 보고 시점을 늦추도록 네이버와 정부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노조는 여전히 지분 매각은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오세윤 네이버 노조 지회장은 14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지분이 넘어간다는 건 단순히 주식 종이 쪼가리가 넘어가는 게 아니라 라인서비스를 만들어가는 한국의 라인플러스를 포함한 2500여명 구성원들이 통째로 소프트뱅크로 넘어간다는 뜻”이라며 “그분들이 가진 기술과 노하우가 넘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당한 어떠한 이유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글로벌 서비스 자체가 넘어간다는 게 굉장히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조합원들이) 불안을 느껴서 지분매각을 노동자가 반대해야겠다고 생각해 (어제) 입장을 냈다”고 설명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는 지난 13일 성명을 내고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 보호가 최우선”이라며 “이들을 보호하는 최선의 선택은 매각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우리 기업과 국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해 네이버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 단호하고 강력히 대응하겠다면서, 정치권 일각의 반일 조장 프레임은 국익 훼손이자 우리 기업의 보호와 이해관계 반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고 정치권의 ‘초당적 협조’를 요청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