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익갤러리, 박상미 '둥근 위로' 개인전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2024. 5. 14. 1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통의 하루, 속삭이는 순간' 나무는 자란다.

무채색의 수묵과 원색적인 색채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하고 있는 박상미 작가의 개인전 '둥근 위로_團圓風景'전이 열리고 있다.

작품 중심에는 무채색의 식물이 존재한다.

화폭 위에 무채색의 식물과 공간, 색감 세 가지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상생의 장면을 연출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상미, 보통의 하루-속삭이는 순간, 53x45.5cm, 장지에 수묵 채색, 2024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보통의 하루, 속삭이는 순간' 나무는 자란다.

무채색의 수묵과 원색적인 색채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하고 있는 박상미 작가의 개인전 '둥근 위로_團圓風景‘전이 열리고 있다. 서울 종로구 송현동 이화익갤러리에서 4년 만에 펼치는 전시다.

박상미 작품은 일상생활을 식물로 대변 된 평면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작품 중심에는 무채색의 식물이 존재한다. 수묵의 식물은 다양한 색감으로 구성되어진 공간 속에 자리 잡고 있다. 화폭 위에 무채색의 식물과 공간, 색감 세 가지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상생의 장면을 연출한다.

박상미, 각자의 정원_누군가의 위로, 107x182cm, 장지에 수묵 채색, 2024 *재판매 및 DB 금지

작품 속 ‘공존’은 결국 ‘조화로움’을 의미한다. 다양한 공간과 상황에 적응하면서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뻗으며 생명력을 지속하는 식물들은 저마다의 자리에서 각자의 삶을 살아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이 담겨있다.

가로수, 화분, 잡초들을 담아낸 화폭은 반복되는 삶의 희로애락 속에서 ‘그렇게 살아가는 거야’, ‘괜찮다’, ‘잘하고 있다’는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작품 제목에 '다정한 안부'를 전하는 작가의 마음이 들어있다. 전시는 23일까지.

박상미, 사소한 정원_각자의 방식으로 지탱하고 있는, 32x41cm, 장지에 수묵 채색, 2024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hyu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