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밈주식 재개+인플레 완화 기대에 상승 출발

국제뉴스공용1 2024. 5. 14. 0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욕증시는 소폭 상승한 채 출발했다.

밈(Meme;온라인상의 입소문을 바탕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주식) 주식 열풍을 주도한 투자자의 복귀에 대한 기대와 함께 이번주 인플레이션 지표 하락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주가지수는 약간의 지지력을 보였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밈 주식 열풍을 주도한 대장 개미 투자자의 귀환과 이번주에 나올 인플레이션 지표에 주목하고 있다.

종목별로 보면 게임스탑과 함께 밈주식의 대표 종목이던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가 20%대 상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연합뉴스) 정선영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소폭 상승한 채 출발했다.

밈(Meme;온라인상의 입소문을 바탕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주식) 주식 열풍을 주도한 투자자의 복귀에 대한 기대와 함께 이번주 인플레이션 지표 하락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주가지수는 약간의 지지력을 보였다.

특히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9거래일 연속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3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9.32포인트(0.15%) 오른 39,572.16을 나타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02포인트(0.08%) 오른 5,226.7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8.50포인트(0.23%) 오른 16,378.92를 나타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밈 주식 열풍을 주도한 대장 개미 투자자의 귀환과 이번주에 나올 인플레이션 지표에 주목하고 있다.

이날은 개장전부터 팬데믹 시기에 밈 주식 투자자로 유명했던 키스 질(Keith Gill; 포효하는 키티)이 3년 만에 X(옛 트위터) 계정에 게시물을 올리면서 시장 참가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그가 과거 게임스탑에 대한 낙관적인 분석을 내놓았던 만큼 이날 게임스탑의 주가는 개장전부터 급등세를 보여 오전 한때 80% 이상 급등했다.

이번주에 미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는 점도 기대를 모았다.

앞으로 인플레이션 지표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일면서 금리인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4월 미국 CPI 전망치는 전월대비 0.4% 상승, 전년대비 3.4%로 예상됐다. 이는 직전월의 전월대비 0.4%, 전년대비 3.5%보다 비슷하거나 누그러진 수준이다.

4월 근원 CPI 전망치는 전월대비 0.3%, 전년대비 3.6%로 전망됐다. 이 역시 지난 3월 전월대비 0.4% 상승, 전년대비 3.8% 상승보다 약간 완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종목별로 보면 게임스탑과 함께 밈주식의 대표 종목이던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가 20%대 상승했다.

인텔 주가는 새로운 칩 공장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에 3%대 상승했다.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Arm홀딩스(ADR)는 첫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해 내년에 출시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3%대 올랐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독일 DAX지수는 0.16% 하락했고, 영국 FTSE지수는 0.17% 내렸다.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0.01% 올랐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1.01% 오른 배럴당 79.05달러를, 7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0.70% 오른 83.37달러를 나타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출처: 연합뉴스 자료 사진

syj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