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창업생태계 ‘심장’ 뛰게… 투자·컨설팅 전방위 지원

박정민 기자 2024. 5. 13. 11: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지역의 창업생태계 조성·활성화를 위해 지역 창업을 도모하는 벤처캐피털(VC)·엔젤투자자,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지원을 확대한다.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법률·회계·컨설팅·디자인·지식재산권(IP) 등 전문서비스 지원도 강화한다.

지역의 우수한 투자·창업보육 전문기업에 대해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의 '벤처펀드 특별보증' 평가에서 우대하기로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정부, 경쟁력 강화 대책
지역 벤처펀드 규모 확대해
2026년까지 누적 1조 공급
지자체 등 법인 출자 상한선
30% → 49%까지 상향 조정

정부가 지역의 창업생태계 조성·활성화를 위해 지역 창업을 도모하는 벤처캐피털(VC)·엔젤투자자,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지원을 확대한다.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법률·회계·컨설팅·디자인·지식재산권(IP) 등 전문서비스 지원도 강화한다.

13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각 지역에서 창업한 기업이 지역에서 성장하고,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우선 벤처캐피털·엔젤투자자, 액셀러레이터를 중심으로 벤처투자·창업보육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가 개인투자조합에 20% 이상 출자하는 경우에 대해 지자체를 비롯한 법인의 출자 상한선을 현행 30%에서 49%까지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그만큼 민간 출자자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지역의 우수한 투자·창업보육 전문기업에 대해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의 ‘벤처펀드 특별보증’ 평가에서 우대하기로 했다.

또 투자금을 회수한 액셀러레이터의 재투자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세컨더리 펀드 출자 규모’를 늘릴 예정이다. 그 밖에 실적·경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모태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때 지역 소재 전문기업에 대한 평가 가점을 늘리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 펀드에 대해선 우선 위탁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서비스 지원도 늘린다. 지역의 주력산업과 연계된 IP 전문인력을 늘리고 디자인 전문교육 과정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바우처 사업 공급기업 선정에서도 지역 전문서비스 업체에 가점을 부여한다. 이와 함께 성장지원 서비스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인력·정주 여건 개선에도 나선다. 지역 벤처·창업기업의 자금조달 기회도 확대한다. 지역 벤처투자 생태계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모태펀드 지역 계정 출자규모를 올해 1000억 원에서 단계적으로 확대, 오는 2026년까지 누적 1조 원 이상 신규 공급할 예정이다. 청년창업사관학교 등 창업지원기관 간 협업을 통해 권역별로 대규모 정기 ‘IR 피칭데이’도 개최한다.

한편 이날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벤처투자 현황 진단과 대응 방안’에 따르면 올해 국내 벤처투자의 경우 미국·영국보다 회복세는 뚜렷하지만 고금리 장기화 등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국내 1분기 벤처투자액은 1조9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 늘었고 벤처펀드 결성액은 2조4000억 원으로 42% 증가했다. 이를 미국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회복세가 뚜렷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나 벤처투자 시장 성장세는 올해도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정민·박지웅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