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네이버 '과장광고 의혹' 제재 착수

배진솔 기자 2024. 5. 13. 09:3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현대카드 (홈페이지 갈무리=연합뉴스)]

네이버가 제휴 카드와 유료 멤버십을 홍보하면서 혜택을 부풀리는 등 과장 광고했다는 의혹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재에 착수했습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네이버의 표시광고법 위반 행위에 대해 제재 의견을 담은 심사보고서(검찰의 공소장 격)를 발송했습니다.

문제로 지적된 부분은 크게 '제휴 카드 혜택 과장'과 '멤버십 가입자 부풀리기' 두 가지입니다.

네이버는 제휴카드인 '네이버 현대카드'를 광고하면서 "네이버 멤버십 적립 최대 5%에 네이버 현대카드 추가 적립 5%를 더해 최대 10%, 월 최대 1천142만원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고 광고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혜택은 광고에 담긴 내용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버 멤버십 적립 5%는 일부 적립 대상 상품을 구매할 때만 받을 수 있으며, 이마저도 월 이용 금액 20만원까지만 적용됐습니다.

적립 대상이 아닌 상품은 월 한도 제한이 없지만 적립률이 1%로 낮았습니다.

혜택 관련 상세 정보를 소비자가 찾기 어려운 곳에 숨겼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적립 한도 제한을 비롯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혜택 제공 조건 등 유의 사항 확인하기' 버튼을 눌러야만 접속할 수 있는 별도 페이지에서 공지해 소비자의 확인을 어렵게 했다는 것입니다.

유료 구독 서비스인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의 가입자 수를 부풀려 광고했다는 내용도 심사보고서에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멤버십 신규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유료 회원이 최대 3명까지 무료로 초대할 수 있는 가족·친구 회원이나 해지 회원 등을 가입자 수에 포함해 과장 광고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입니다.

사건을 조사한 공정위 시장감시국은 이 같은 네이버의 광고 행태가 소비자를 기만하는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한다고 제재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정위는 조만간 전원회의를 열고 제재 여부와 수위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공정위는 네이버의 '멤버십 중도 해지 방해'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 중입니다.

계약 해지 유형은 중도 해지와 일반 해지로 구분됩니다. 

중도 해지는 신청 즉시 계약이 해지돼 이용이 종료되며 소비자가 결제한 음원서비스 이용권 금액에서 이용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환급됩니다.

그러나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은 중도 해지를 신청해도 차액이 환불되지 않고 월말까지 서비스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상 서비스 중도 해지가 불가능했던 셈입니다.

공정위는 이 같은 방식으로 멤버십 서비스를 운영하는 네이버와 쿠팡, 마켓컬리에 대해 이달 초 현장 조사를 나가 관련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공정위는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관련자 조사를 진행한 뒤, 제재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