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커플링 효과?…美, 1분기에 中 제치고 독일 최대 '무역파트너'

이한나 기자 2024. 5. 13. 09:1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과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몇 년간 중국이 독일의 최대 무역 파트너였으나 미국이 올해 들어 그 자리를 되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12일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독일과 미국 간 수출입 규모는 630억 유로(약 93조1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에 비해 독일과 중국 간 교역 규모는 600억 유로를 밑도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ING 리서치의 카스텐 브르제스키 거시 연구 글로벌 총괄은 이에 대해 "미국의 강력한 (경제)성장으로 독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동시에 중국과의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 중국 내수 약화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동차 등 중국이 독일에서 주로 수입했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독일의 중국에 대한 수출이 감소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독일 투자은행(IB) 베렌버그의 홀거 슈미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사실 미국이 오랫동안 중국보다 독일 수출의 더 큰 시장이었다면서 "현재 중국 경제가 둔화하고 있는 데다 독일 기업들이 보조금을 받는 중국 기업들과 더욱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이어 중요한 차이점은 이제 수입 부문에서도 미국이 보다 중요한 국가가 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독일은 지난해부터 기업들에 중국으로부터의 디리스크(de-risk·위험 제거)를 촉구하는 등 새로운 중국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독일 정부는 중국과 (무역)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이념과 체제 등과 관련된 이른바 '시스템 경쟁'이 갈수록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CNBC는 분석했습니다.

유럽연합(EU)과 중국도 서로 무역 관행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는 등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독일 Ifo 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 비율이 2022년 2월 46%에서 올해 2월 37%로 낮아졌습니다.

이는 중국 제조업체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 기업이 줄어들었다는 뜻입니다.

브르제스키 총괄은 "미국이 독일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됐다는 사실은 무역 패턴의 변화와 중국과의 점진적인 디커플링이 실제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