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받아들이는 존재 [한주를 여는 시]

이승하 시인, 이민우 기자 2024. 5. 13. 08: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한주를 여는 시
이승하의 ‘내가 읽은 이 시를’
정용원 시인의 ‘바다는 받아래요’
생명의 모든 소리 받는 바다
동시가 만들 수 있는 생각들

바다는 받아래요

낮에는 해님의 사랑을 받아요
별밤에는 달님과의 속삭임도 받아요
바람의 심술도 받아요 구름의 눈물도 다 받아요

갈매기의 칭얼거림도 받아요
고기랑 해조랑 조개의 청도 받아요

밝음도 어둠도 다 받아요
그래서 바다는 받아래요

「시선」, 2012년 가을호에서.

시인은 바다라는 낱말의 뜻풀이를 하고 있다. 바다는 받아들이는 존재다. 해와 별과 달의 빛을 받아들인다. 바람이 불면 바람을, 비가 내리면 비를 받아들인다. 갈매기가 끼룩끼룩 운다고 하는데 시인은 그 소리를 칭얼거림으로 이해했다.

바다는 고기와 해조와 조개 등 바다가 집인 모든 생명체의 청도 다 받아주는 어머니 같은 존재다. 가슴을 활짝 열어 수많은 시냇물과 강, 생활하수와 공장폐수를 다 받는다. 이 세상의 밝음도 어둠도 다 받는 존재, 그래서 그의 이름이 '받아'라고 한다나. 어찌 보면 말장난 같지만 바다의 속성을 생각해보면 틀린 말이 아니다.

조금 더 욕심을 낸다면 울음바다나 물바다 같은 것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동시의 범주를 넘어서니까 이 정도에서 멈추는 것이 좋겠다.

하지만 이 동시를 초등학교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읽어줄 때 '받다'의 다른 뜻을 아는 게 있냐고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상을 받다, 생일선물을 받다, 공을 받다, 목욕물을 받다, 돈을 받다, 주문을 받다, 신호를 받다, 도움을 받다, 버림을 받다, 감동을 받다, 공을 머리로 받다, 응석을 받다, 우산을 받다……. 외래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에게 '받다'만 갖고도 한 시간 공부를 거뜬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승하 시인
shpoem@naver.com

이민우 더스쿠프 기자
lmw@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