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1분기 순익 507억…여수신 확대에 `역대 최대`

이미선 2024. 5. 13. 08: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케이뱅크가 올 1분기에 507억원의 순익을 냈다고 13일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4억원과 비교하면 5배 가까이 늘었다.

케이뱅크는 1분기에도 고객과 여수신이 모두 늘며 외형성장을 이어갔다. 1분기 말 기준 케이뱅크의 고객은 1033만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80만명이 늘었다.

1분기 말 수신잔액은 23조9700억원으로 전분기(19조700억원)와 비교해 25.7% 늘었다. 여신잔액은 14조76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13조8400억원) 대비 6.6%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수신의 경우 △경쟁력 있는 금리 △상품 혜택 강화 △시장 선도적인 파격 프로모션 등으로 잔액이 늘었다. 지난해 8월 출시한 생활통장은 출시 5개월 만인 올 1월 100만좌를 넘었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지난해 11월 한도를 3억원에서 10억원으로 늘리며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의 여유자금이 몰렸다. 1분기 중 진행한 두 번의 연 10% 금리의 적금 특판과 연 5% 예금 특판, 챌린지박스(자동 목돈 모으기)의 여름 휴가 맞이 해외여행 챌린지 등으로 예·적금 잔액도 증가세를 보였다.

여신은 담보대출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갔다. 1분기에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잔액은 1조원, 전세대출 잔액은 약 3000억원 늘었다. 정부 대환대출 인프라 시행에 맞춰 신청 및 심사 프로세스를 개선한 결과, 금리 경쟁력과 편리한 이용환경을 자랑하는 케이뱅크의 아담대와 전세대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며 많은 고객이 유입됐다.

아담대의 경우 전체 신규 대출 중 67%가 대환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의 담보대출 비중은 지난해 말 약 40%에서 올 1분기말 약 45%로 늘었다.

개인사업자대출(신용·보증) 역시 신상품 출시와 경쟁력 있는 금리를 앞세워 꾸준히 성장하며 올 1분기 대출잔액 1조원을 넘어섰다.

고객 저변 확대로 케이뱅크의 올 1분기 이자이익은 135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29억원과 비교해 31.9% 늘었다.

비이자이익은 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81억원 대비 2배 가까이로 늘었다. 비이자이익은 증권사 계좌 개설(NH투자· 미래에셋·삼성·KB·한국투자·하나)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배 가까이 증가한 점과 운용 수익 확대 등이 이익 개선으로 이어졌다.

올 1분기 충당금 적립액은 담보대출 비중 확대와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등으로 전년 동기(602억원) 대비 19.7% 줄어든 484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9.0%로 23년말 30.88%에서 더 낮아졌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2.40%으로 전 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연체율은 0.95%로 전 분기와 비교해 하락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3.61%였다.

케이뱅크의 1분기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33.2%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말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대출 비중(29.1%)에 비해 4.1%p 늘었다. 케이뱅크는 설 명절에도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신용회복위원회에 기부금 5000만원을 전달했다. 2월에는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방안에 따라 자영업자·소상공인 2만7000명에게 총 51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 지급을 시작했다.

케이뱅크는 1분기 통장묶기 즉시해제 제도 도입, 돈나무 키우기 서비스 출시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갔다. 통장묶기 즉시해제 제도는 고객이 통장묶기(피해자의 계좌에 돈을 입금한 후 피싱 신고로 지급정지 시킨 뒤 지급정지 해제를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신종 범죄)로 억울하게 지급정지가 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두세달이 걸리는 지급정지를 즉시해제해 고객 피해를 최소화했다.

고객이 매일 앱에 출석해 특정 임무를 수행하면 보상을 받는 출석·임무 수행 보상형 서비스에 게임 요소를 활용해 재미를 더한 '돈나무 키우기'는 입소문을 타며 지난 3월 출시 이후 2달 만에 이용고객이 94만명을 넘었다.

케이뱅크는 올해 △생활 속의 케이뱅크 △혁신 투자 허브 케이뱅크 △Tech 리딩 뱅크 케이뱅크 등을 목표로 혁신금융과 상생금융 실천에 주력할 계획이다.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은 "다양한 고객 혜택과 금리 경쟁력을 고객에게 인정받은 것이 분기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올해는 생활과 투자 영역의 상품 서비스 차별화로 고객 기반을 더욱 확대하고, 중저신용대출 등 상생금융 실천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선기자 alread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