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깐깐해진 기술평가, 한번에 통과한 레드엔비아 비결

김선 기자 2024. 5. 13. 05: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기술성평가위원회(기평위)에서 고배를 마시고 있다.

그 결과 2022년부터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기술특례상장 기업이 한 자릿수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발생한 파두사태 여파로 올해는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던 10여곳의 바이오 기업 중 5곳이 연초에 IPO를 자진 철회했다.

지난해 IPO를 철회한 바이오 기업이 6곳이지만 올해는 불과 한 달여 만에 5곳이 상장을 접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EO포커스] 이훈모 레드엔비아 대표
레드엔비아가 으리면 올해 IPO 도전에 나서는 가운데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한 번에 통과했다. 이훈모 레드엔비아 대표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최근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기술성평가위원회(기평위)에서 고배를 마시고 있다.

그 결과 2022년부터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기술특례상장 기업이 한 자릿수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발생한 파두사태 여파로 올해는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던 10여곳의 바이오 기업 중 5곳이 연초에 IPO를 자진 철회했다.

지난해 IPO를 철회한 바이오 기업이 6곳이지만 올해는 불과 한 달여 만에 5곳이 상장을 접었다. 해당 기업 중에는 최소 6개월 이상 심사를 받거나 여러 대기업으로부터 러브콜을 받으며 IPO 도전을 이어왔던 기업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훈모 대표이사가 이끌고 있는 레드엔비아가 기평위를 한 번에 통과하는 쾌거를 이뤘다. 레드엔비아가 기평위를 한번에 넘어선 것은 개발 치료제의 희소성을 인정받은 것도 있지만 임상에서 가능성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현재 개발 중인 대동맥심장판막석회화증(CAVD) 치료제 RNV-1001은 동아에스티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에보글립틴에서 CAVD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실제 환자 유래 판막 세포·동물 모델을 통해 추가 검증을 완료해 미국과 캐나다 28개 병원에서 867명 규모의 2/3상을 진행하고 있다.

CAVD는 노인성 만성질환으로 글로벌 환자 규모는 현재 2137만명에서 2040년 2600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 대표는 최대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미국 시장을 공략해 국내에서 개발하고 출시한 유일한 뇌전증 치료제인 세노바메이트의 뒤를 잇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관련 임상 환자 모집이 내년 초 완료되면 2년 약을 복용한 이후 데이터를 확보하는 시점은 2027년이다. 회사 측은 이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선 기자 sun24@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