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지지' 정책 바꾼다"… 바이든, 석달 전 네타냐후에 이미 경고했다

위용성 2024. 5. 13. 00: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자지구의 '마지막 피란처' 라파에서 전면전을 벌이겠다고 벼르는 이스라엘을 향해 최근 '무기 지원 중단'이라는 강수를 던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미 석 달 전부터 이런 경고를 전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개전 이래 네타냐후 총리와 여러차례 통화하면서 가자지구 전쟁이 과거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이라크 전쟁처럼 수렁에 빠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월 통화서 언급… 오래 전 인내심 한계
"라파 침공 땐 무기 지원 중단" 선언까지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18일 이스라엘 수도 텔아비브를 방문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텔아비브=AFP 연합뉴스

가자지구의 '마지막 피란처' 라파에서 전면전을 벌이겠다고 벼르는 이스라엘을 향해 최근 '무기 지원 중단'이라는 강수를 던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미 석 달 전부터 이런 경고를 전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1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소식통을 인용,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월 11일 처음으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미국 정부의 정책 변경 가능성을 거론했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일 라파 침공 시 무기 제공을 중단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 있는데, 그보다 석 달이나 앞선 시점이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의 전쟁 초기부터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했던 바이든 대통령의 인내심은 오래 전 한계에 달해 있었다는 의미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네타냐후 총리와의 통화에서 라파에서 지상전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은 이스라엘의 대응 방식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백악관은 양국 정상의 통화 후 배포한 공식 성명에서 이 사실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로부터 일주일 뒤인 2월 17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라파 침공의 기운이 고조되고 있으며 인도주의적 재앙이 초래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 NYT는 "그 시점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과 이스라엘이 한 세대 만에 가장 심각한 충돌로 치닫는 길로 향하게 됐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개전 이래 네타냐후 총리와 여러차례 통화하면서 가자지구 전쟁이 과거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이라크 전쟁처럼 수렁에 빠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네타냐후 총리가 수차례 '가자지구 맹폭'이라는 방침을 고수하자 바이든 대통령도 점차 신뢰를 잃어갔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지난해 12월 23일에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할 만큼 했다(I'm done)"며 전화기를 세게 내려놓기도 했다고 NYT는 전했다.

이후 지난달 1일 국제구호단체 직원 오폭 사건 등 일련의 사건이 중첩됐고, 바이든 대통령은 끝내 지난주 이스라엘로 향할 예정이었던 폭탄 3,500개의 선적을 중단시키기에 이르렀다는 분석이다.

위용성 기자 up@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