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달 ‘카네이션’ 특수 옛말…남은 꽃 중고거래까지

조정아 2024. 5. 12. 21: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가정의 달, 5월의 대명사였던 카네이션의 특수가 이제는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꽃보다 실용적인 선물이나 현금 선호도가 높아진 탓인데요.

카네이션을 중고 거래에 내놓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조정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하우스를 가득 채운 형형색색 꽃들.

지난해 가을부터 정성 들여 키워낸 카네이션입니다.

예정대로라면 이달 초 모두 출하돼 텅 비어 있어야 할 하우스에, 어버이날이 지나고 스승의 날이 코앞인데도 카네이션이 3분의 1 넘게 남아 있습니다.

출하 못한 꽃은 폐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광배/화훼 농민 : "이벤트 행사용 꽃이니까 카네이션은 100% 폐기처분해야 되고요. 5월 15일 끝나면 아웃(끝)이에요."]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6일까지 화훼공판장에서 거래된 국산 카네이션은 20송이 묶음 4만 4천 7백여 속.

지난해보다 32% 줄었고, 사회적 거리 두기 직후인 재작년의 절반 수준입니다.

청탁금지법으로 스승의 날 카네이션 선물 문화가 사실상 사라진 데다, 어버이날에도 꽃 대신 용돈 등 실용적인 선물을 선호하는 분위기 때문입니다.

[조솔담/서울시 성동구 : "(꽃은) 금방 시들고 하니까 괜히 짐이 될까 봐 그 꽃 사는 돈이면, 꽃도 비싸니까 용돈을 더 챙겨드리는 거 같아요."]

꽃집들도 울상입니다.

들여오는 카네이션을 해마다 줄이고 있지만 번번이 재고가 남습니다.

[이기전/꽃집 주인 : "항상 10~20%씩 줄이고 있어요. 그런데도 이렇게 남아있는 거예요. 그래서 쉽지 않고."]

중고거래 사이트에선 싼값에라도 카네이션을 처분하겠다는 판매 글이 잇따라 올라옵니다.

감사와 사랑의 상징과도 같던 카네이션.

사회 변화와 함께 그 의미도 점차 퇴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조정아 기자 (right@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