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1분기 영업이익 7조원 육박…처음으로 세계 2위 폭스바겐 제쳤다

김준 기자 2024. 5. 12. 21: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아·제네시스 합산 영업이익률 10% 넘겨…BMW·벤츠와 비슷한 수준

올해 1분기 현대자동차그룹의 영업이익이 독일 폭스바겐그룹을 처음 넘어섰다.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률은 ‘톱5’ 완성차업체 가운데서 가장 높았다.

12일 세계 완성차업체의 올 1분기 실적을 보면, 현대차·기아·제네시스가 포진한 현대차그룹은 매출 66조8714억원, 영업이익 6조983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매출과 영업이익이다.

판매량 기준 글로벌 1위 도요타그룹은 올해 1분기에 해당하는 ‘2023회계연도 4분기’에 매출 11조726억엔(약 97조5400억원), 영업이익 1조1126억엔(약 9조8000억원)을 올렸다.

2위 폭스바겐그룹은 지난 1분기 매출 754억6000만유로(약 111조5500억원), 영업이익 45억9000만유로(약 6조7800억원)를 기록했다. GM그룹은 매출 430억1400만달러(약 59조원), 영업이익 37억3800만달러(약 5조1000억원)를 올렸다.

현대차그룹의 분기 기준 영업이익이 폭스바겐그룹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폭스바겐그룹은 산하에 포르쉐, 아우디, 람보르기니, 벤틀리와 상용차 브랜드 만을 거느린 세계 자동차업계 전통적 강자이다.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이 늘어난 것은 수익성 높은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판매가 급성장세를 보이고, 세단보다 비싼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가 증가한 덕이다. 인센티브 같은 영업부문의 판매 비용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확대된 것도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 하이브리드차는 초기 개발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나 최근엔 주문한 지 1년이 돼야 차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아지면서 판매량이 대폭 늘고, 차량 가격도 비싸 수익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분기 ‘글로벌 톱5’ 자동차업체 가운데서 영업이익률도 가장 높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8.7%)와 기아(13.1%)가 합산 10.4%의 영업이익률을 기록, 도요타그룹(10.0%)과 GM그룹(8.7%), 폭스바겐그룹(6.1%), 르노닛산미쓰비시(4.3%)를 앞섰다. 이는 영업이익이 상대적으로 높은 프리미엄 브랜드인 BMW(11.4%)와 메르세데스 벤츠(10.7%)와도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기아의 1분기 영업이익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기아는 신차 등을 현대차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등 고정비용이 다소 적게 들어 영업이익률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준 선임기자 j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