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900 깨졌지만…벤처펀드 수익률 날았다

이지효 2024. 5. 12. 18: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스닥지수가 지난달 900선 아래로 떨어지며 부진한 가운데 코스닥벤처펀드가 예상 밖 수익률을 보이며 선전하고 있다.

코스닥벤처펀드의 수익률을 올려준 일등 공신은 공모주다.

코스닥벤처펀드 가운데 올해 수익률 1위에 오른 브레인코스닥벤처는 알테오젠의 비중이 11.71%로 제일 높다.

공모주를 제외한 대부분 자산을 채권에 투자하는 공모주펀드보다 코스닥벤처펀드의 수익률이 더 높았던 이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수 부진한데 수익률 쏠쏠
18개 평균 6.8% 달해
공모 배당주펀드 앞질러
브레인벤처, 27%로 1위
수익률 일등공신 공모주
우선배정 덕에 재미 봐
정부 부양책 혜택 기대

코스닥지수가 지난달 900선 아래로 떨어지며 부진한 가운데 코스닥벤처펀드가 예상 밖 수익률을 보이며 선전하고 있다. 올해 들어 평균 수익률은 약 7%로 국내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와 공모주, 배당주펀드를 앞질렀다. 증권가에선 정부의 코스닥 부양책이 나올 경우 코스닥벤처펀드에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공모주 덕분에 수익률 선방

12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일 기준 국내 18개 코스닥벤처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6.80%다. 이 기간 코스닥지수가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선방했다. 공모주펀드(2.60%), 배당주펀드(6.63%)보다 좋은 성과를 거뒀다.

코스닥벤처펀드 가운데 올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상품은 ‘브레인코스닥벤처’로 26.93%의 수익을 냈다. 이외에 ‘브이아이코스닥벤처’, ‘삼성코스닥벤처플러스’의 수익률은 각각 7.61%, 7.22%였다. ‘웰컴공모주코스닥벤처’ 역시 6% 이상(6.90%)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높은 수익률에도 자금은 빠져나가고 있다. 연초 이후 코스닥벤처펀드에서는 993억원이 순유출됐다. 수익률이 높아지자 차익을 실현하려는 투자자들이 펀드 환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닥벤처펀드는 2018년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 조성됐다. 자산의 50% 이상을 벤처기업이나 7년 이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한다. 대신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공모주 물량의 30%를 우선 배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투자자들은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정부가 주도하는 ‘관제 펀드’가 대부분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내며 자취를 감췄지만 코스닥벤처펀드는 5년간 설정액 규모를 늘리며 중소형 운용사의 대표 펀드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코스닥벤처펀드의 수익률을 올려준 일등 공신은 공모주다. 공모주의 일정 물량을 우선 배정받을 수 있어서다. 공모주는 통상 기업가치에 비해 공모가가 낮게 책정된다. 여기에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이 공모 가격의 400%로 확대되면서 기대수익률이 높아졌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1분기 코스닥 기업공개(IPO) 공모주의 월별 성과는 1월 239.5%, 2월 146.2%, 3월 129.0%를 기록했다.

 코스닥 부양책이 성과 좌우할 듯

코스닥벤처펀드의 투자 비중이 높은 코스닥 종목 주가가 급등한 점도 수익률에 영향을 미쳤다. 코스닥벤처펀드 가운데 올해 수익률 1위에 오른 브레인코스닥벤처는 알테오젠의 비중이 11.71%로 제일 높다. 알테오젠은 올해 들어 86.01% 상승했다. 브이아이코스닥벤처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 가운데 뉴프렉스(3.42%)를 가장 많이 편입했다. 뉴프렉스 역시 연초 이후 25.03% 올랐다. 공모주를 제외한 대부분 자산을 채권에 투자하는 공모주펀드보다 코스닥벤처펀드의 수익률이 더 높았던 이유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코스닥시장 부양책에 따라 코스닥벤처펀드 수익률이 좌우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유가증권시장 종목으로 자금이 대거 이동하면서 코스닥시장이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며 “코스닥 지원책과 함께 공모주 시장 호황이 이어지는지에 따라 펀드 운용 성과가 엇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