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단타' 빠진 외국인들…"우량주 장기투자 옛말"

김동필 기자 2024. 5. 12. 11:3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증시 투자 전략이 '고빈도 알고리즘 매매'(High Frequency Trading·HFT)로 불리는 초단타 매매로 변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외국인의 경우 '소수의 우량주를 매수하고 장기 보유하는 가치투자를 한다'는 기존 통념을 깬 첫 연구라는 설명입니다.

오늘(12일) 한국증권학회지 논문에 따르면 우민철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부 팀장과 엄윤성 한성대 교수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7년 동안 유가증권(코스피)·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매매내역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논문 저자들은 2005년부터 2022년까지를 5개 구간으로 나누고, 시기별 거래대금 상위 10개 외국인 계좌의 매매양태를 분석한 뒤 나머지 시기와 비교했습니다.

2005~2008년 상위 10개 계좌는 각자 일평균 최대 120개 미만의 종목을 거래했으며 거래금액은 29조~47조원 수준이었다.

이후 2012년~2016년 구간에선 1천 종목 이상을 거래하는 계좌가 상위 10위권 안에 들기 시작했고, 이들은 2016~2019년, 2020~2022년 구간에서도 거래대금 상위권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10개 계좌가 전체 외국인 거래대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5~2008년에는 20.13%였으나 2020~2022년에는 41.35%로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각 시기의 상위 10개 외국인 계좌가 매매한 종목들의 시가총액이 감소하는 추세도 관찰됐습니다.

구간별 상위 10개 계좌에서 거래한 종목들의 시가총액을 단순 평균한 결과, 2005~2008년에는 8조 7천125억 원에 달했으나 2020~2022년에는 평균 2조 2천231억원으로 줄었습니다.

상위 10개 계좌의 데이트레이딩(당일 매수·매도) 비중도 첫 시기 5.02%에서 가장 최근엔 9.97%로 상승했습니다.

한 특정 계좌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23.21%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연구진은 "외국인 주도세력이 거래한 종목들의 시가총액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것을 근거로 외국인 주도세력이 교체됐다고 단정할 순 없다"라면서도 "하지만 상위 10개 계좌가 거래한 종목 수가 소수 우량주에서 다수 종목으로 확장됐고 거래 종목들의 시가총액도 급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은 '가치투자자' 외국인에서 '고빈도 알고리즘 투자자' 외국인으로 주도세력이 변경됐다면 나타날 수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증시에 참여하는 외국인은 시가총액이 크고 변동성이 작은 우량주 위주로 장기투자한다'는 기존 통념을 뒤집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외국인은 대규모 자금을 소수의 우량주에 투자해 중·장기로 운용하는 정보거래자라고 인식되고 있다"라면서 "외국인의 매매양태가 초단기 알고리즘을 이용한 단기성 매매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 거래대금 기준으로 주도세력이 변하고 있음을 증명한 첫 연구"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금융 당국도 외국인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시장 영향력에 대한 추가적인 견해가 필요하다"라고 제언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