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텅 비었는데 ‘현장 방문’…울산시의회 의문의 워크숍 [주말엔]

김옥천 2024. 5. 12.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시의회 정책지원관과 사무처 직원 등 30여 명은 지난 3월 29일 경상북도의회를 찾았습니다.

결국, 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담당관실 직원 2명이 남아 울산시의회 직원들을 응대합니다.

울산시의회는 경상북도의회 직원 '2명'을 보고 와서 보도자료로 "정책지원관과 전문위원 등을 만나 지방의회 정책지원 현황을 청취하고, 정책지원관의 역할 및 전문위원실과의 협력방안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공 울산시의회


울산시의회 정책지원관과 사무처 직원 등 30여 명은 지난 3월 29일 경상북도의회를 찾았습니다. 시의회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돕는 '정책지원관' 활동을 공유하고 협력을 논의하는 '워크숍'을 위해서였습니다. 약 300만 원의 시의회 예산을 들여 경상북도의회를 찾고, 안동 도산서원을 둘러보는 현장 탐방 활동까지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같은 날 경북도의회에서도 '워크숍'을 했습니다. 경북 울진의 한 리조트에서 100명 가까운 직원들이 모였습니다. 즉, 울산시의회 측이 경북 안동으로 올라간 날에 경상북도의회는 텅 비어있었던 겁니다.

울산시의회는 보도자료로 "의회 직원끼리 진솔한 의견을 나누고 소통했다"고 말했습니다. 직원 대부분이 떠난 의회에서 어떤 의견을 나누고 소통했다는 걸까요?

■남아있는 직원 '2명'…그래도 "일단 간다"

제공 경상북도의회

"울산시에서 아마 모르고 잡았는데, 저희한테 (응대를 요청했고), 저희가 "일정이 있어서 대응해주기는 좀 어렵겠습니다."라고 (처음에) 얘기를 했어요…"

-경상북도의회 관계자

경상북도의회는 100명 가까운 인원이 움직이다 보니 일찌감치 워크숍 날짜를 3월 29일로 정하고 숙박할 리조트도 예약해두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울산시의회가 하필 같은 날 경상북도의회를 방문하겠다고 연락을 한 겁니다. 경상북도의회 측은 워크숍을 이유로 응대가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울산시의회는 날짜를 바꾸기 어렵다며 경상북도의회에 협조를 다시 요청합니다. 결국, 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담당관실 직원 2명이 남아 울산시의회 직원들을 응대합니다. 울산시의회는 그래도 남아있는 직원이 있으니 이들을 만나면 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울산시의회는 경상북도의회 직원 '2명'을 보고 와서 보도자료로 "정책지원관과 전문위원 등을 만나 지방의회 정책지원 현황을 청취하고, 정책지원관의 역할 및 전문위원실과의 협력방안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취재를 해보니 울산시의회 직원들은 경상북도의회 전문위원은 한 명도 만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사람 많으면 집중 안 돼" 해명…시민단체는 "관행 고쳐야!"

"전문위원실 (직원이) 없었던 건 조금 아쉬움이 있지만…사람 수가 많으면 더 흩어지고 집중이 안 되는 부분이 있잖아요…"

-울산시의회 관계자

울산시의회 측은 또 경상북도의회와 워크숍 일정이 겹친 그날에 방문을 강행하게 된 경위에 대해 "총선 선거 기간에는 시의회 업무량이 적어, 그 맘 때쯤 가는 게 시의회 업무 공백을 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전문위원실 직원이 없었던 건 아쉽다"면서도 "정책지원관 직원 2명 중 1명은 팀장이었기 때문에 충분히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현장 워크숍'인데, 의회에 직원이 있을 때로 날짜를 잡고 가야 하지 않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어차피 우리가 직원이 다 있을 때 가더라도 다 만나는 건 아니고, 한두 명 정도를 만나게 되지 않겠느냐"라며, "사람 수가 많으면 흩어지고 집중이 안 되는 부분도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울산시민연대 이향희 팀장은 "연수·워크숍에 대한 잘못된 관행이 뿌리 깊게 박혀있다"며, "세금이 100원이라도 들었다면 정말 필요한 연수인지 제대로 심의하고, 연수 시기도 연수 효과가 큰 날로 정하고, 시민들에게 활동 결과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울산시의회 측은 보도자료에서 "다른 광역의회 실무자와 소통하는 좋은 기회였다"며,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폭넓은 의회 정책지원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의문의 워크숍'은 정말 울산시의회 직원들이 시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돕는 '정책지원'에 매진할 수 있게 도움이 될까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옥천 기자 (hub@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