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서는 사과맛이 난다”…연인이 떠난 방에서 품은 마지막 욕망 [Books]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4. 5. 12. 05: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죽음에서는 사과맛이 난다. 사과나무가 꽃을 피우고 불길에 휩싸인다." 2022년 생을 마감한 프랑스 작가 크리스티앙 보뱅의 '마지막 욕망'은 자살 장면으로 시작된다.

연인은 철필로 손목을 그었고, 그 철필이 이제 '나'에게 있다.

연인이 떠난 방에서 죽음이 진행되는 사이, '나'는 이 작품 제목처럼 마지막 욕망을 품는다.

그때 저자는 죽음이 임박해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욕망 /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 김도연 옮김 / 1984BOOKS 펴냄
국화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죽음에서는 사과맛이 난다. 사과나무가 꽃을 피우고 불길에 휩싸인다.” 2022년 생을 마감한 프랑스 작가 크리스티앙 보뱅의 ‘마지막 욕망’은 자살 장면으로 시작된다. 연인은 철필로 손목을 그었고, 그 철필이 이제 ‘나’에게 있다. 연인이 떠난 방에서 죽음이 진행되는 사이, ‘나’는 이 작품 제목처럼 마지막 욕망을 품는다.

이 책은 프랑스 대표 출판사 갈리마르가 2022년부터 시작한 콰르토(quarto) 총서의 첫 번째 책이다. 문학의 본산으로 거론되는 프랑스에서, 보뱅이 이 총서의 첫 번째 작가로 낙점됐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그만큼 한 단어, 한 문장이 시에 가까운 문장으로 가득하다. 시집처럼 얇은 소설이지만 깊이와 넓이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죽음을 갖고 노는 유희 속에서도, 한 인간의 심연에 파동을 주는 문장으로 채워졌다.

출판사에 따르면, 저자 보뱅은 이 소설을 1980년 완성됐다. 작품 복사본은 도서관 사서였던 친구에게 건네졌는데 사서 친구는 불운하게도 복사본을 잃어버렸다. 40년쯤 흐른 뒤에 이 원고는 다시 발견됐다. 그때 저자는 죽음이 임박해 있었다. 한때 사라졌다가 부활했던 소설이 소멸을 앞둔 저자 곁에 놓인 것이다. 크리스티앙 보뱅은 한때 존재했다가 실종됐던 소설의 문장을 한 글자도 고치지 않고 갈리마르에 보냈다. 그리고 죽었다. 그 결과물의 번역서가 이 책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