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탄신일 연등과 노인[청계천 옆 사진관]

변영욱 기자 2024. 5. 11. 13: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변영욱의 백년사진 No. 60

누구나 스마트폰 카메라로 가족과 풍경을 멋지게 찍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사진이 넘쳐나는 이 시대에, 우리는 원형으로 돌아가 그 시절의 사진에 담긴 의미와 맥락을 탐구해 보고자 합니다. 사진기자가 100년 전 신문에 실렸던 흑백사진을 매주 하나씩 선별하여 소개하는데, 독자들의 상상력이 더해짐으로써 사진의 의미가 더욱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주 백년사진이 고른 사진은 1924년 5월 11일자 동아일보 2면에 실린 사진입니다.

100년 전 석가탄신일을 앞두고, 갓과 흰 저고리 차림의 노년 남성 4명이 고궁의 담벼락 아래 앉아 있습니다. 두 사람은 사진 찍는 사람을 발견하곤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고 두 사람은 무표정하게 저 먼 곳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무슨 사연인지 살펴보겠습니다.

● 석가탄신일에 어린이에게 새 옷을 입히던 풍습이 있었다

노인들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으로 보아선 긴 벤치가 있거나 평평한 돌이 있는 듯합니다. 그들의 뒤쪽 허공에 전봇대 굵은 줄을 이용해 5~6개의 물건이 나란히 걸려 있습니다. 사진은 지면의 왼쪽 상단에 실렸는데 지면의 오른쪽 하단에 관련 기사가 실려 있습니다. “오늘은 4월 8일 - 가정에는 복등(福燈)을 달고 사찰에는 인등(引燈)을 한다”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인쇄상태가 좋지 않아 사진설명이 정확하게 안 보입니다만 기사를 통해 사진의 제목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복등(福燈) 걸린 가로(街路)/ 1924년 5월 11일 동아일보 2면 사진

기사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924년 5월 11일 동아일보 2면 하단에 실린 기사
〈금일은 4월 8일 - 가정에는 복등을 달고, 사찰에는 인등을 한다〉
오늘 11일은 음력으로 4월 8일이니 석가세존이 탄생된 지 제2951회의 탄신일이다. 해마다 8일이 되면 불교와 인연이 깊은 조선 각 가정에서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고운 옷을 지어 입히며 각 상점에서는 복등을 지어 팔고,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어린 자녀의 수명(壽命) 장수(長壽)를 빌기 위하여 인등(引燈)을 하는데 복등 시세는 지등(紙燈)이면 30전부터 사등(紗燈)이면 1원부터 있다는데, 예년보다는 등(燈)의 산출액이 격증되었다 한다. 시내 각황사(覺皇寺)에서는 낮 12시와 밤 8시부터는 기념 설법이 성대히 열리겠다 하며 기타 시외에 있는 개운사(開運寺), 신흥사(新興寺), 봉원사(奉元寺), 화계사(華溪寺), 흥국사(興國寺) 등 각 사찰에서도 낮과 밤을 이어서 인등과 불공이 있으리라 하며, 창덕궁에서도 특히 유릉(裕陵)에는 인등(引燈)을 하신다더라.

지금은 사라진 각황사를 비롯해 전국 유명 사찰에서 행사가 열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이로 만든 연등과 비단으로 만든 연등의 가격이 다르다는 것은 아마 지금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불교를 믿는 가정에서는 자녀들에게 새 옷을 지어 입히는 풍습이 있었다는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기사 내용에서 이해가 안되는 것은, 왜 ‘연등’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복등’이라는 용어와 ‘인등’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 하는 점입니다. 인터넷 검색으로도 두 표현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불교계의 의견을 물었더니, ‘인등’이라는 표현은 부처님 앞에 밝히는 등이라는 의미로 지금도 많이 쓰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다만, 복등이라는 표현은 흔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의 저자 이윤수 박사에 따르면, 일제의 중추원이 1924년 조선 풍습을 조사한 적이 있는데 이 보고서에서 ‘연등’의 의미를 당시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 설명되어 있다고 합니다. 당시 조선 사람들은 슬하의 자녀 숫자대로 등을 올리려고 했고, 등불이 밝으면 좋고 어두우면 좋지 않은 징조로 여겨 추가로 떡 등을 올려 운을 좋게 하려 했다고 합니다. 자녀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연등이 ‘복등’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 이유를 유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아사망률이 높았던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아이들의 무병 생존을 위해 등을 달았다는 것이 얼마나 간절한 기도였을지 상상이 됩니다. 불을 밝힌다는 행위를 묘사하는 연등(燃燈)보다는, 불을 밝히는 이유인 ‘복을 가져오기 위한다’는 의미에서 ‘복등(福燈)’과 ‘인등(引燈)’이라는 표현을 썼을 거라는 설명입니다.

● 노인들이 거리에 여유롭게 앉아 있는 풍경은 사라져

부처님 오신 날은 불교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이 탄생한 것을 기념하는 중요한 날로, 음력 4월 8일입니다. 2024년 올 해는 다음주 5월 15일입니다. 불교 국가인 고려에서 번성했던 행사가 유교가 중심 사상이었던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를 거쳐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한 것은 50년이 채 안됩니다. 1975년부터 빨간 날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한글화 추세에 따라 공식 명칭이 2018년 4월 10일 국무회의를 통해 ‘석가탄신일’에서 ‘부처님 오신 날’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진에서 눈에 띈 점은 사진 속 노인입니다. 부처님 오신 날과 관련해 남성 노인이 포함된 사진은 낯선 광경입니다. 왜 낯설다고 느꼈을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신문 사진을 찍는 제가 노인을 찍는 경우는 성공한 뉴스 인물이거나 아니면, 고독과 배고픔을 견디는 인물들이 대부분입니다. 탑골 공원 주변에서 무료 급식을 기다리시거나 폐지를 줍는 모습들 말입니다. 노령화가 점점 심해지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인층이지만 신문에 실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백년 사진 속에서는 노인들이 거리에 하릴없이 앉아 있는 풍경입니다. 혹시라도 나이든 분들의 일상에 대한 접근을 현대의 우리들 스스로 꺼리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반추해 봅니다. 매력적인 볼거리가 많은 시대이기 때문일 수도 있겠습니다.

다들 젊고 바쁘게 사는지라 시내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맞춤형 휴식 공간이 없어서인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시내에서 노인들이 저렇게 앉아 있을 공간은 별로 없습니다. 그러니 100년 전 사진처럼, 거리에 나와 쉬고 있는 노인들 사진이 없을 수도 있겠습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고령화 사회로 가는 우리 사회의 거리 풍경도 점점 달라지겠죠?

# 오늘 소개된 백년 사진을 통해 우리는 100년 전 부처님 오신 날 풍경과 조선 사람들의 일상을 조금 엿볼 수 있었습니다. 사진은 우리에게 그 당시 사람들의 삶과 관습을 생생하게 전달해 줍니다. 여러분은 사진에서 어떤 특이점을 보셨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