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살 넘는 고양이 흔하다? 기대수명은 훨씬 짧은 ‘11.7년’

김지숙 기자 2024. 5. 10.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버마 고양이'라고 불리는 '버미즈'는 기대수명이 14살에 이르지만, 털이 없는 품종인 '스핑크스'는 6.8살에 불과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영국 왕립수의대와 대만 국립중흥대연구진은 "영국에서 사망한 고양이 7936마리의 성별·연령·품종을 조사한 결과, 전체 고양이의 기대수명은 11.7살이었다. 암컷은 12.5살, 수컷은 11.2살로 암컷이 조금 더 길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영국 왕립수의대, 고양이 7900마리 조사
14살 넘긴 버미즈·버만 ‘장수묘’…교잡종도 11.9살
털 없는 스핑크스 6.8살 불과…벵갈·러시안블루도 단명
영국 고양이 7900여 마리의 수명을 조사한 결과, 버마 고양이가 14살으로 장수묘 1위에 올랐다. 위키피디아 코먼스

‘버마 고양이’라고 불리는 ‘버미즈’는 기대수명이 14살에 이르지만, 털이 없는 품종인 ‘스핑크스’는 6.8살에 불과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영국 왕립수의대와 대만 국립중흥대연구진은 “영국에서 사망한 고양이 7936마리의 성별·연령·품종을 조사한 결과, 전체 고양이의 기대수명은 11.7살이었다. 암컷은 12.5살, 수컷은 11.2살로 암컷이 조금 더 길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일(현지시각) 수의학저널 ‘고양이 의학 및 외과 저널’에 실렸다.

연구진은 고양이 기대수명 예측을 위해 2019년 한 해 동안 영국수의학회 6곳에 포함된 동물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고양이 125만4400마리 가운데 2019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사망한 고양이 7936마리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고양이의 기대수명은 11.7살이었다. 여러 종이 섞인 교잡종 고양이는 순종 고양이보다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였는데, 교잡종은 11.9살, 순종은 10.4살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가운데 최소 15마리가 사망한 품종들을 살펴보면, 기대수명이 가장 긴 ‘장수 고양이’ 1위는 태국·미얀마 등이 고향인 버만과 버미즈였다. 버만과 버미즈는 갓 태어났을 때 기대수명이 14.4살로 가장 긴 반면, 스핑크스의 경우 6.7살로 버미즈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전체 조사대상 고양이 가운데 88%를 차지한 교잡종은 11.9살로 두 번째로 오래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서도 많이 키우는 러시안 고양이(러시안 블루)는 9.7살, 벵갈 고양이는 8.5살이었다.

고양이 품종별 기대수명. 고양이 의학 및 외과 저널 제공

연구진은 그동안 개와 달리 고양이 수명에 대한 예측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이번 연구가 예비 보호자, 수의사, 고양이 입양단체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댄 오닐 영국 왕립수의대 부교수는 “아픈 고양이를 키우는 보호자라면 앞으로 반려동물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11살 또는 12살인데 앞으로 기대수명이 1년 남았다면 고통스러운 수술을 피하고 남은 삶을 위해 노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 전했다. 이들은 고양이의 남은 수명을 연령별로 정리한 ‘기대수명표’도 함께 공개했다.

안타깝지만 국내 반려묘들의 기대수명에 대한 조사는 아직까지 이뤄진 적이 없다. 최근 국내에서는 20살 이상 사는 고양이들의 사례가 적지 않은데, 최대 기대수명 14살은 짧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이에 대해 권혁호 수의사는 한겨레에 “해당 연구가 2019년 한 해 동안 동물병원을 찾은 고양이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평균 수명이 더 짧게 조사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또 “영미 국가에서는 반려묘를 집 안팎을 오가는 ‘외출 고양이’로 키우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국내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인용 논문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DOI: 10.1177/1098612X241234556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