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키호테(Don Quixote) 뜻이 슈퍼 정력 나으리라고? [말록 홈즈]

2024. 5. 10. 15: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록 홈즈의 플렉스 에티몰로지 18]

‘플렉스 에티몰로지’란 ‘자랑용(flex) 어원풀이(etymology)’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쓰는 말들의 본래 뜻을 찾아, 독자를 ‘지식인싸’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작은 단서들로 큰 사건을 풀어 나가는 셜록 홈즈처럼, 말록 홈즈는 어원 하나하나의 뜻에서 생활 속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돈 키호테(Don Quixote)’. 17세기 초, 스페인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쓴 장편소설입니다. 세계적으로 아주 유명하죠. 사람들 생김새 아주 다른 머나먼 한국에서, 1980년대에 TV 만화영화로 방영됐습니다.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도 내용이 일부 실릴 정도였습니다.

시대를 아우르는 명작입니다. 2002년 노벨연구소가 주최한 ‘전세계 유명작가들이 뽑은 최고의 책’에서, 1위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이때 무려 50% 넘는 작가들이 돈 키호테에 투표했다고 합니다. 작품성이 탁월하고, 여러 세기 동안 대중에게 큰 인기를 모았기 때문일 겁니다. 순수문학이 가진 한계를 넘어, 시대상을 반영하고 부조리를 비판하며 대중의 가슴을 울렸습니다.

불현듯, 제가 생각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명작영화 ‘말죽거리 잔혹사’가 스칩니다. 돈 키호테도 순수 예술에 사회참여(앙가쥬망: engagement)적 스토리를, 환상적으로 버무렸습니다. 갑자기 웬 엉뚱한 소리냐고요? 우리는 지금 예측 불가능의 대명사 ‘돈 키호테’를 이야기하고 있으니까요! 돈 키호테는 기사도문학을 비판한 기사도 배경의 작품입니다. 먹고 살기 빠듯한 시대에, 생산적 노동은 안 하고 빌붙어 먹고 사는 기사 계층. 이 놈팽이들이 주구장창 여자들한테 껄떡대는 모습을 찬양하고 부추기는 기사도문학에, 세르반테스는 냉소를 보냅니다. 바로 돌아이 기사의 기행을 통해서.

넉넉하진 않지만 나름 배 부르고 등 따숩게 살던 시골 귀족 노인 알론소 키아노가, 갑자기 스스로를 기사로 셀프 임명합니다. 여러 지역을 떠돌며, 좌충우돌 똘기충만 기사모험을 이어갑니다. 함께하는 캐릭터들도 기억하실 겁니다. 명마 로시난테, 충직한 수행원 산초, 고귀한 연인 둘시네아... 오늘은 이 돈 키호테의 등장인물들의 이름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1. 돈 키호테(Don Quixote)

본명은 알론소 키아노(Alonso Quixano). 알론소의 의미는 ‘고귀함을 갖춘 사람’입니다. 돈(Don)의 뜻은 ‘master’, ‘lord’, 대략 ‘~경’이나 ‘나리마님’입니다. 키호테(Quixote)는 ‘thigh’, ‘cuisse’, 즉 ‘허벅지’ 혹은 ‘허벅지를 덮는 갑옷’입니다. 튼실한 하체는 ‘탁월한 남성적 에너지’를 뜻합니다. ‘허벅지 경’ 돈 키호테는, 사실 ‘슈퍼 정력 나리’란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 알론소 키아노는 예순 무렵에 접어든 노인이었습니다. 그가 ‘키아노’라는 성을 발음이 비슷한 ‘키호테’로 바꾼 이유는, 현실의 나이와 신체 조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의지였다고 추측해 봅니다.

“허벅지 나리, 오늘은 더 근사해 보이세요.”

돈 키호테가 기대하는 본인의 정력적 이미지를 Bing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해봤다.
2. 로시난테(Rosinante)

로시난테는 노쇄한 말 로씬(rocin)과 before를 뜻하는 안테스(antes)의 합성어입니다. ‘진작부터 낡은 말’, ‘상늙마(제가 갖다 붙인 말)’입니다.

“달려라, 상늙마!”

“돌격, 노인네!”

이 장면을 상상하면, 긴장감과 어이없는 웃음을 지으실지도 모릅니다.

돈 키호테의 돌아이 행각에 고단해진 로시난테의 모습을 Bing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해봤다.
3. 산초 판사(Sancho Panza)

이베리아 이름 산초(Sancho)는 라틴어 상투스(Sanctus)에서 왔습니다. ‘성스럽고’, ‘거룩하고’, ‘축복 받은’ 존재를 일컫습니다. 스페인에서 흔한 이름 산체스(Sanchez)는 ‘산초의 아들’이란 뜻입니다. 한편, 일반명사 산초(Sancho)의 뜻은 ‘돼지’입니다. 판사(panza) 또한 ‘불룩배’와 ‘창자’를 뜻합니다. 통통하고 적당히 속물스런 아저씨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같은 철자 단어로 정반대 성향을 함께 버무린 작가의 장난기가 느껴집니다.

“ 고귀한 자여, 내게 창을 주게”

“돼지야, 창 갖고 와!”

얍삽함과 고귀함이 혼재된 산초 판사의 모습을 Bing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제작해봤다. 돼지는 돼지다.
4. 둘시네아(Dulcinea)

여관에서 일하는 힘 세고 걸걸한 여성입니다. 돈 키호테가 고상하고 아름다운 귀부인으로 상상을 입히고, 둘시네아라고 부르며 연모합니다. 실제로는 제대로 만나지도 못합니다. 원래 이름은 알돈사 로렌소(Aldonza Lorenzo). 알돈사의 뜻은 ‘착한 성품’입니다. 보통 아기들에게 붙인 이름이죠. 둘시네아는 달콤하다는 뜻의 라틴어 둘쎄(dulce)에서 왔습니다.(네스카페 ‘돌체 구스토’도 이탈리아어로 ‘달콤한 맛’이란 뜻입니다) ‘사랑스러운 여인’이란 의미로, ‘드높은 이상’을 뜻하기도 합니다. 알돈사는 아기에게, 둘시네아는 성숙한 여인에게 걸맞은 이름입니다. 동네에서 통나무를 가장 멀리 던지는 걸걸한 떡대 아줌마 이름이 ‘깜찍이’에서, ‘현애(賢愛)’로 바뀌는 셈이죠. 둘시네아 역시 현실세계를 비튼 이름입니다. 둘시네아에 대한 돈 키호테의 마음은, 실존하는 연인에 대한 흠모가 맞을까요? 본인의 웅대한 이상에 대한 집착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돈 키호테가 흠모하는 둘시네아의 우아한 모습과 실제 우악스런 모습을 Bing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융합해 봤다. 미안하다, 사과한다.
이렇듯 ‘돈 키호테’ 등장인물들은 각자 현실과 상반된 의미의 이름을 가졌습니다. 이들의 뜻을 알고 작품을 보면, 이해와 재미도 크게 올라갑니다. ‘포레스트 검프(gump: 바보, 모질이)’가 ‘바보 포레스트’이고, ‘잭 스패로우(sparrow: 참새)’가 ‘참새 잭’이란 걸 알고 영화를 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휴일이 많은 5월에는 최고의 명작 ‘돈 키호테’ 정주행 어떠신가요? 1,700페이지 분량이라지만, 예전부터 많은 내용을 예습하셔서 술술 완독하실 수 있을 겁니다. 전 여름휴가 때나 도전해 보겠습니다. 맞습니다, 저도 아직 읽지 않았습니다.;

*감수: 안희돈 교수(건국대 영어영문학과). 건국대 다언어다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언어학회 회장

[필자 소개]

말록 홈즈. 어원 연구가/작가/커뮤니케이터/크리에이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22년째 활동 중. 기자들이 손꼽는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커뮤니케이터. 회사와 제품 소개에 멀티랭귀지 어원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어원풀이와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융합해, 기업 유튜브 영상 제작.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