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자회사 강탈당한 국내 홈쇼핑사 꼴 될라" 네이버를 보는 우려의 시선

2024. 5. 10. 14: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에 라인 경영권을 잃는 위기에 처한 네이버가 과거 중국 정부 압박에 CJ오쇼핑(현 CJ ENM 커머스 사업부분)이 현지 자회사 동방CJ 지분을 대거 팔고 온 사례와 비슷한 처지에 몰릴지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시 동방CJ 기업가치는 1조~2조원으로 추정됐는데, 정부 압박 때문에 CJ오쇼핑은 지분 11%를 502억 원에 매각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 라인 사태가 과거 CJ오쇼핑의 동방CJ 지분 매각 사건과 유사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에 라인 경영권을 잃는 위기에 처한 네이버가 과거 중국 정부 압박에 CJ오쇼핑(현 CJ ENM 커머스 사업부분)이 현지 자회사 동방CJ 지분을 대거 팔고 온 사례와 비슷한 처지에 몰릴지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염려할 바 없다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당시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0일 유통업계 및 금융권에 따르면 CJ오쇼핑은 지난 2003년 자본금 2000만 달러(약 240억 원)를 투자해 중국 SMG와 합작법인 동방CJ를 설립했다. 동방CJ는 2006년부터 흑자 전환하고 2012년 매출 1조 원을 달성했는데 중국 측은 유상증자 때 CJ를 배제하고 뒤이어 지분 매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당시 동방CJ 기업가치는 1조~2조원으로 추정됐는데, 정부 압박 때문에 CJ오쇼핑은 지분 11%를 502억 원에 매각한 바 있다.

당시 회사는 해외사업 가치가 추락하며 주가도 내리막을 걸었다. CJ오쇼핑 주가는 지분 매각을 공시한 하루에만 시가총액이 2221억 원 증발했다. 2012년 CJ오쇼핑 주가는 27만7000원에서 2016년 말 16만2900원까지 약 40% 떨어졌다.

당시에도 일부 애널리스트는 지금의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지분 매각이 투자 재원 마련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하지만 CJ오쇼핑은 계속 추락했으며 합병과 물적 분할 등을 거치면서 지금은 CJ ENM의 한 사업 부문이 됐다.

이 때문에 이번 라인 사태가 과거 CJ오쇼핑의 동방CJ 지분 매각 사건과 유사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네이버 주가는 라인야후의 일본인 CEO가 지분 매각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8일 이후 3.3% 하락했다. 네이버는 올해 첫 거래일인 1월 2일 22만7500원으로 거래를 시작했다가 2월 말 20만원 선이 무너진 후 현재까지 19만 원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라인 매각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평가다. 강제 매각 명령은 양국의 외교적 마찰로 이어질 수 있는데다 한국과 일본은 적대국이 아니기 때문에 미국의 중국 틱톡 강제 매각 같은 사건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2차 행정지도 문건에도 ‘관계의 재검토’라고 에둘러 표현했을 뿐 매각이라는 표현이 들어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만약 네이버가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라인 야후와의 연결 고리는 유지한 채 2대 주주로 내려오는 정도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있다.

현재 네이버가 보유한 지분 약 32.7%(8조 3000억 원)를 소프트뱅크가 전부 인수하기에는 재무적 부담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또 일본 외에 대만·태국에서도 사업을 하고 있고 라인 야후가 라인망가·네이버제트 등 다양한 사업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전체 매각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가 지분 매각으로 몇조 원의 현금을 확보해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 추가 인수합병(M&A)을 추진한다면 주가는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