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만 해도 돈 준다니, 웬 떡이야”...85만명 ‘이것’ 깔았다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2024. 5. 10. 08: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는 서울형 헬스케어 '손목닥터 9988' 참여자가 85만명을 넘어섰다고 9일 밝혔다.

손목닥터 9988은 서울시민이 99세까지 88(팔팔)하게 살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 워치로 건강활동 지원하자는 의미를 담아 2021년부터 시작한 사업이다.

서울시는 시민의 건강관리능력 향상이 사회적 비용을 줄일 효과적인 수단으로 보고, 더 많은 시민이 손목닥터 9988을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치 없이 휴대폰(앱)만으로 참여할 수 있게 시스템을 개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손목닥터’ 앱 인기
걷고 퀴즈 풀면 포인트 적립
서울페이로 현금처럼 써
손목닥터 9988 스마트밴드를 착용하면 활동량과 심박수, 운동량 등이 측정된다. <자료 = 서울시>
서울시는 서울형 헬스케어 ‘손목닥터 9988’ 참여자가 85만명을 넘어섰다고 9일 밝혔다.

손목닥터 9988은 서울시민이 99세까지 88(팔팔)하게 살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 워치로 건강활동 지원하자는 의미를 담아 2021년부터 시작한 사업이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참여자 상시 모집을 시작했으며 8일 오후 5시까지 신청자는 총 85만6167명으로 집계됐다. 참여자는 개인별 건강기록, 건강목표 설정지원, 건강활동 모니터링, 건강정보 상담을 통해 비대면으로 건강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처럼 호응이 높은 이유는 걷기 등 활동을 꾸준히 할수록 포인트가 적립돼 운동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손목닥터 9988 참여자는 하루 8000보 이상 걸으면 200포인트, 건강퀴즈 참여 시 100포인트 등 활동 참여에 따라 1인당 최대 10만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획득한 포인트는 1포인트당 1원의 서울페이머니로 전환해 병원, 약국, 편의점 등 22만여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시민의 건강관리능력 향상이 사회적 비용을 줄일 효과적인 수단으로 보고, 더 많은 시민이 손목닥터 9988을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치 없이 휴대폰(앱)만으로 참여할 수 있게 시스템을 개선했다. 또한 모집 방법을 기존 선착순 모집에서 연중 상시 모집으로 전환하고 대상도 더 많은 어르신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기존 75세였던 참여연령 상한을 폐지했다. 70세 이상은 걸음 포인트 달성 기준을 5000보로 완화해 어르신들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게 조정했다. 기능은 개선하고 대상은 확대해 19세 이상 참여를 희망하는 서울시민 누구나 ‘손목닥터 9988’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시민들도 반기고 있다. 양천구 거주 참여자 김 모씨(67)는 “은퇴 후 건강관리에 관심이 많았는데 손목닥터9988 사업을 통해 꾸준히 걷기 활동을 할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서울 소재 국제기구에 근무하는 40대 외국인 A씨(41)는 “외국인도 참여가 가능하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가입했다”며 “적립 포인트를 서울페이머니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해 주변 외국인 친구들에게도 추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플랫폼과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 100만명 가입을 목표로 많은 시민이 손목닥터 9988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시 모집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시민들이 손목닥터 9988을 활용 못 하거나 정보 접근이 취약해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취약 계층에 대해서는 별도 모집을 통해 참여율을 높일 방침이다. 신체·정서적으로 보다 세심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60세 이상 어르신, 출산모, 대사증후군관리대상, 고독사 위험가구, 고립・은둔청년 등을 대상으로 오는 8월 중 대상자를 발굴해 모집할 계획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