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비대면 시대, '은행 슈퍼앱' 뜬다

김남이 기자 2024. 5. 10. 05: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은행의 신용대출이 대부분 비대면으로 이뤄진다.

비대면 금융상품 판매가 늘면서 주요 금융그룹은 '금융플랫폼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하나은행이 취급한 신용대출의 95.5%는 앱(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한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NH농협은행도 금융상품의 74%를 비대면으로 판매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요 은행의 신용대출이 대부분 비대면으로 이뤄진다. 비대면 금융상품 판매가 늘면서 주요 금융그룹은 '금융플랫폼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금융플랫폼으로서 입지가 넓어지면 비용절감은 물론 수수료이익 창출까지 기대할 수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하나은행이 취급한 신용대출의 95.5%는 앱(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한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예·적금도 가입자의 73.2%가 디지털을 이용했다.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1년 새 43% 증가했다.

다른 주요 은행도 신용대출은 비대면이 중심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비대면 신용대출 비중이 각각 83%, 84%에 이른다. 우리은행은 적립식 예금 신규 가입자의 96.5%가 비대면으로 가입했다. NH농협은행도 금융상품의 74%를 비대면으로 판매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은 비대면 대출의 금리가 더 낮은 경우가 있어 앱을 활용한 방식을 알려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상품 판매의 무게중심이 비대면으로 이동하면서 금융그룹간 플랫폼 경쟁도 격화한다. 주요 금융그룹은 단순 금융회사가 아닌 '금융플랫폼기업'으로 변화를 원한다. 특히 비대면 대환대출이 활성화하면서 금융플랫폼의 중요성은 더 높아졌다.

금융플랫폼은 적은 비용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수료이익 등으로 이자이익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실제로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1분기 디지털채널에서 5420억원의 영업이익(경비차감 전)을 거뒀다. 또 점포운영에 따른 비용을 아낄 수 있고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상담 등을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주요 금융사는 금융플랫폼화를 위해 우선 계열사 앱 등으로 흩어진 주요 금융서비스를 하나로 모으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KB금융그룹은 'KB스타뱅킹'을 통해 은행과 계열사의 주요 금융기능은 물론 국민지갑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한금융은 지난해말 흩어진 계열사 앱의 주요 기능을 통합한 '슈퍼SOL(쏠)'을 선보였다.

하나금융그룹은 '하나원큐'와 '하나페이'를 앞세워 금융플랫폼 강화를 준비 중이다. 우리금융은 오는 11월 슈퍼앱 '뉴원'(New Won) 출시를 준비 중이다. NH농협금융지주도 'NH올원뱅크'를 중심으로 슈퍼플랫폼 전략을 짜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대면으로 상품을 판매하면 중간에 사람이 개입할 여지가 줄고 고객이 직접 가입하기 때문에 금융사 입장에선 불완전판매 위험도 낮출 수 있다"며 "홍콩 ELS(주가연계증권) 사태로 비대면 판매가 더 주목받는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