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의 ‘이성 과잉, 감성 부족’[뉴스와 시각]

손기은 기자 2024. 5. 9. 11: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대형 서점 베스트셀러 코너의 책들을 보면, 뚜렷한 '제목 공식'이 있다.

'하루 만에 수익 내는'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최소한의' 등 눈길을 사로잡는 표현으로 무장한 책들이 선반 상단을 차지하고 있다.

또 다른 이는 책 제목이 나를 위로하는 것만 같아서, 파스텔 톤 책 표지가 예뻐서 책을 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기은 정치부 차장

최근 대형 서점 베스트셀러 코너의 책들을 보면, 뚜렷한 ‘제목 공식’이 있다. ‘하루 만에 수익 내는’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최소한의’ 등 눈길을 사로잡는 표현으로 무장한 책들이 선반 상단을 차지하고 있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하루 만에는 수익보다 손실을 낼 것이고, 읽으면서 바로 무언가를 써먹기는 여간 쉽지 않고, 그게 무엇이든 ‘최소한’보다는 ‘최대한’으로 읽고 생각하는 게 좋다. 그러나 대중은 이성보다는 감정을 따를 때가 많다. 누군가는 지금도 최소 시간 투자로 수익도 내고, 멋있게 무언가를 써먹을 수 있다고 믿으며 책값을 낸다. 또 다른 이는 책 제목이 나를 위로하는 것만 같아서, 파스텔 톤 책 표지가 예뻐서 책을 산다.

야당은 이 지점을 정확히 파고드는 노련한 출판 기술자다. 책 시장이 아무리 어려워도 ‘시대 감성’에 맞는 책을 시장에 내놓는다. 책 내용이 독자들에게 해가 되는지, 과거에 출판했던 ‘재탕 콘텐츠’인지는 고려 사항이 아니다. 실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장하는 ‘전 국민 25만 원 민생지원금’이 딱 그렇다. 경제학적으로 보면, 고물가 상황에서 무리하게 나랏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게 된다. 국민의 물가 고통을 덜어주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이를 더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럼에도 ‘전 국민’ 단어는 무차별적이어서 듣기 좋고, 한 달 치 아이 학원비는 되는 25만 원을 준다 하니 좋고, 민생이라는 말이 붙으니 또 왠지 좋은 정책 같다. 이 지점에서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바른말’은 불편하고 야박하기까지 하다.

능수능란하게 선전·선동술을 구사하는 기술자들을 상대로 윤 대통령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논리와 이성’은 더없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국민의 감성’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25만 원은 안 된다’고 선을 그을 게 아니라, 재정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고물가·고금리에 한계 상황에 처한 저소득층·소상공인에게 ‘선제적’ 선별 지원을 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에 해당한다. 지금 윤 정부가 꼭 필요한 곳에,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 알기 쉬운 정책 내용으로 다가가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야당의 ‘돈 살포 민생’을 비판하기 앞서, ‘알맹이 민생’이 뭔지 정확히 보여줘야 한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부르짖는 ‘민생’의 온기가 용산 대통령실 밖으로 뻗어 나가고 있는지 절실히 생각해 봐야 한다. 서민들은 마트에 파격 세일 품목을 고르고 골라 5만 원 조금 넘게 장을 보고 ‘3개월 무이자’ 결제를 한다. 이들 입장에서는 윤 대통령의 민생은 극히 추상적이다. 대통령·비서실장·수석·장관·차관 등이 전국의 땀 냄새 나는 민생 현장을 ‘비공개’로 찾아 이 민생 개념을 구체화해야 한다. ‘민생 행보’라는 거창한 제목을 달고 보기 좋은 사진을 곁들인 의례적 보도 자료는 내지 않는 게 좋다. 이런 일은 소문내지 않아도 절로 소문이 나기 마련이다. ‘내로남불’ 야당은 “쇼를 한다”고 비판할 테지만, 국민 마음을 얻기 위한 이런 쇼는 언제든 괜찮다. 이런 행보가 지속되면, 윤 대통령의 ‘오만, 불통’ 이미지는 생각보다 빠르게 없어질 수 있다.

손기은 정치부 차장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