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한국 반도체 생산 점유율 19%…대만·미국 제친다

정민아 2024. 5. 9. 10: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32년 한국의 반도체 생산 비중이 전 세계 시장의 19%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오늘(9일)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에서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생산능력은 19%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년간 생산능력 증가율 129% 2위
10나노미터 이하 반도체 생산 점유율 9%로 하락 예상
2022년 대비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생산 점유율/사진=미국반도체산업협회·보스턴 컨설팅 그룹 보고서 캡처


2032년 한국의 반도체 생산 비중이 전 세계 시장의 19%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는 2022년의 생산비중보다 2%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중국(21%)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대만(17%)과 미국(14%)도 앞서게 됩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오늘(9일)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에서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생산능력은 19%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 비중(17%)은 중국(24%)과 대만(18%)에 이어 일본과 함께 공동 3위로 평가됐습니다.

그러나 2032년에는 생산비중이 19%로 대만을 제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보고서는 반도체 생산 지역을 한국과 미국, 유럽, 일본,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인도 등을 포함한 기타 등 7개 지역으로 구분했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생산 점유율이 증가하는 것은 반도체 공장 건설을 통해 생산능력이 많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보고서는 이 기간 한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을 129%로 추정했습니다.

이는 미국(20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유럽(124%)과 대만(97%), 일본(86%), 중국(86%), 기타(62%) 등을 앞섭니다.

2022년 대비 2032년 각국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사진=미국반도체산업협회·보스턴 컨설팅 그룹 보고서 캡처


2012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90%)은 중국(365%)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이 기간 다른 지역의 생산능력 증가율은 대만(67%), 유럽(63%), 일본(36%) 등의 순으로 높았고, 미국은 11%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기타 지역은 72%였습니다.

다만, 첨단 공정을 포함한 10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이하 한국의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31%에서 9%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같은 기간 대만도 69%에서 47%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지원법을 앞세워 미국 내 설비 투자를 장려하면서 첨단 공정을 위한 공장 등을 짓는 등 투자가 많이 늘어난 데 따른 것입니다.

미 정부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390억 달러)과 연구개발(R&D) 지원금(132억 달러) 등 모두 527억 달러(75조5천억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32년 미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은 2022년 대비 3배 수준(203%)으로 늘어나고, 생산 점유율도 10%에서 14%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보고서는 "반도체 지원법이 없었다면 미국의 점유율은 2032년 8%로 떨어졌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10나노미터 이하 공정의 생산 점유율은 2022년 0%에서 10년 뒤인 2032년에는 28%로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보고서는 "한국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일찍 투자해 삼성과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반도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전 세계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D램 시장에서 각각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