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광저우공장 매각 급물살

오찬종 기자(ocj2123@mk.co.kr) 2024. 5. 8. 18: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에 있는 대규모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매각을 위한 행정 절차에 돌입했다.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팔면 한국 전자업체 중 LCD 패널을 생산하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게 된다.

한때 세계 LCD 시장을 제패했던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가 생산을 접으면서 중국 패널업체들에 가격 주도권을 완전히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부, 매각심사 논의 돌입
BOE 등 中기업과 협상 중
매각대금 최대 2조 관측

◆ 기로에 선 제조업 ◆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에 있는 대규모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매각을 위한 행정 절차에 돌입했다.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과 가격 후려치기 여파로 수익성이 떨어진 LCD 패널 생산을 접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비롯한 주력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르면 올 상반기에 매각 계약을 체결한다는 목표다. 공장 매각 가격은 최대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파악된다.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팔면 한국 전자업체 중 LCD 패널을 생산하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게 된다. 한때 세계 LCD 시장을 제패했던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가 생산을 접으면서 중국 패널업체들에 가격 주도권을 완전히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8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장 매각 허가 심사를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절차에 따라 산업부는 산업기술보호위원회를 열고 해당 안건을 심의할 예정이다. 심사 과정은 통상 3개월 정도 걸린다. LG디스플레이는 매각 계약 전에 선제적으로 정부 심사를 요청해 행정 절차에 걸리는 시간을 절약해 보겠다는 포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중국 BOE와 CSOT를 포함한 복수의 업체를 인수 후보군으로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매각 대금 확정을 위한 실사를 하고 있다. 당초 알려진 매각 대금은 1조5000억원 수준이었지만 1조원대 중후반으로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한국 LCD 업체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16년까지 세계 1~2위를 독차지하면서 시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 같은 LCD 호황기는 2017년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걸었다. 중국 정부가 자국 디스플레이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이들이 원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쏟아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LCD 비중이 높았던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한국 기업들은 LCD 산업에서 철수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 전환에 올인할 태세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중국뿐 아니라 인도, 대만을 비롯한 후발 주자들 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OLED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전환은 필수적"이라면서 "올해를 OLED 대전환의 해로 삼아 산업 역량을 한층 키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찬종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