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요일은 ‘월요일’이 아니다

조윤영 기자 2024. 5. 8.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한국인에게 가장 인기가 없는 요일은 '화요일'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 결과,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요일은 '금요일'(34%)이었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달로는 '5월'(21%)과 '10월'(20%)이 비슷하게 꼽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갤럽 ‘한국인이 좋아하는 50가지’ 조사 결과
금요일 가장 좋아하고, 화요일 가장 선호도 떨어져
게티이미지뱅크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한국인에게 가장 인기가 없는 요일은 ‘화요일’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은 3월22일부터 지난달 5일까지 전국(제주 제외) 13살 이상 1777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50가지’라는 주제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3%포인트)를 8일 발표했다.

‘금-토-일-수·목-월-화’ 순 선호

조사 결과,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요일은 ‘금요일’(34%)이었다. ‘토요일’은 33%, ‘일요일’은 11%로 금·토·일 사흘이 전체 응답의 78%를 차지했다. 일주일 가운데 가장 인기가 없는 요일은 ‘화요일’(2%)로 나타났다. ‘월요일’(4%)은 화요일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수요일’과 ‘목요일’은 각각 선호도 8%를 차지했다.

앞서 갤럽은 2004년, 2014년, 2019년에도 ‘한국인이 좋아하는 40가지’라는 주제로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갤럽은 “이른바 ‘불금’(불타는 금요일) 선호도가 2014년과 2019년 40%대에서 올해 30%대로 하락해 토요일과 비슷해졌다”며 “일요일 선호도가 금·토보다 낮은 것은 월요일을 앞둔 중압감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좋아하는 달 5월-10월-4월 순…2월 가장 싫어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달로는 ‘5월’(21%)과 ‘10월’(20%)이 비슷하게 꼽혔다. 이어 ‘4월’(12%), ‘3월’과 ‘9월’(10%), ‘12월’(6%), ‘7월’과 ‘11월’(5%), ‘6월’과 ‘8월’(4%), ‘1월’(3%), ‘2월’(1%) 순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견줘 10월 선호도는 2014년 33%, 2019년 25%, 올해 21%로 감소했다. 반면 5월은 같은 기간 16%, 19%, 21%로 증가했다. 갤럽은 “5월과 10월은 날씨가 야외 활동에 적합하고, 산천초목이 아름다워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시기”라며 “때로는 긴 연휴가 될 수도 있는 공휴일이 많다”고 분석했다.

한라산, 지리산 제치고 좋아하는 산 2위…1위 설악산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산은 강원도 ‘설악산’(22%), 제주도 ‘한라산’(20%), 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남도에 걸쳐 있는 ‘지리산’(18%) 순으로 나타났다. 2004년, 2014년, 2019년 3차례 조사에서는 늘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순이었지만 올해 지각 변동이 일어났다. 한라산 선호도가 2004년 8%에서 2024년 20%로 꾸준히 상승해 지리산을 넘어섰고 설악산도 바짝 따라붙은 것이다. 갤럽은 “한라산 인기에는 저가 항공사 등장, 숙박업소 다변화 등이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