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매각법' 직면한 틱톡, 美정부 상대로 제소…"수정헌법 1조에 위배"

정지윤 기자 2024. 5. 8. 13: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제 매각 위기에 처한 틱톡의 모회사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법적 소송을 제기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최근 틱톡의 강제 매각 및 국내 판매 조처를 내린 미국의 결정이 위헌이라며 미국 워싱턴 연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앞서 미국 하원은 지난달 20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270일 안에 매각하고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앱스토어에서 완전히 퇴출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0억 인구가 사용하는 커뮤니티에 미국인 참여 못해"
'언론 자유 침해' 이유로 트럼프 시절에도 금지 명령 시행 중단
미국 상원은 23일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 강제매각 등이 담긴 대외안보 패키지법안을 통과시켰다. 강제매각안은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매각하지 않으면 1년내 미국시장을 떠나도록 하고 있다. 안보패키지법안은 앞서 하원을 통과했기에 이제 틱톡 운명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손에 달려있게 됐다. 2024.04.24 ⓒ AFP=뉴스1 ⓒ News1 박재하기자

(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강제 매각 위기에 처한 틱톡의 모회사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법적 소송을 제기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최근 틱톡의 강제 매각 및 국내 판매 조처를 내린 미국의 결정이 위헌이라며 미국 워싱턴 연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앞서 미국 하원은 지난달 20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270일 안에 매각하고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앱스토어에서 완전히 퇴출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다.

바이트댄스는 이러한 틱톡 금지법이 수정헌법 제1조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바이트댄스는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 의회가 특정 동영상 플랫폼을 영구적으로 금지하는 법을 제정해 모든 미국인이 전 세계 10억명이 사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것을 막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의회가 표현의 범위를 대폭 축소하는 법을 만든 것"이라고 항의했다.

또 법률이 정한 시한인 270일 안에 틱톡을 매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일정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바이트댄스는 법이 정한 270일의 기한을 90일까지 한 차례 더 연장할 수 있다. 이 기간에 앱은 계속 운영되며 미국인들은 틱톡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바이트 댄스는 틱톡을 매각할 계획이 없으며, 미국 대법원까지 가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틱톡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 시절에도 같은 논리로 금지 조치를 피한 바 있다.

당시 연방 법원은 "앱을 금지하는 이유가 과장됐다"며 "언론의 자유가 위험에 처해있다"는 이유로 트럼프의 틱톡 금지 명령 시행을 중단시켰다.

그러나 이번 법안은 민주·공화 양당이 초당적으로 합의해 법원도 이를 거스르기 어려울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가우탐 한스 코넬대학교 법학 교수는 "틱톡은 이전의 수정헌법 제1조 도전에서 승리했지만 이번 법안은 초당파적 특성을 띠고 있다"며 "판사들이 국가 안보를 두고 의회와 논쟁을 미룰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stopy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