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회_나들이 안전사고와 킥보드 사고 예방요령

2024. 5. 8.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Q. 5~6월 어린이 손상사고 증가? 어린이 손상사고 5~6월·7월·10월 순으로 많이 발생 어린이 손상사고 환자 중 4~13세 비중 12.4% 평일보다는 주말에 어린이 손상사고 발생 빈도 높아

Q. 어린이 손상사고 원인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추락·낙상 가장 많아 충돌 또는 부딪힘에 의한 둔상과 운수사고도 많아 입원 유발한 손상 사고 '추락·낙상·운수사고' 순으로 많아

Q. 어린이 사고 발생 시 대처요령은? 아이들의 탈골·골절 대비해 구급용품 구비해야 얼음 등 차가운 것으로 찜질하여 부기 가라앉혀야 골절 가능성 있다면 부목 등 딱딱한 것으로 고정해야

Q. 낙상사고 시 응급처치 요령은? 낙상사고로 머리·관절·치아에 부상 발생 가능 동행자 또는 주변인들의 신속한 1차 처치 도움 돼 기도확보·인공호흡 숙지한다면 응급처치에 도움 돼

Q. 고령층 낙상 주의해야? 고령의 노인은 낙상 사고로 고관절 골절 발생할 수도 낙상으로 2차·3차 골절 생기면 삶의 질 매우 떨어져 다양한 합병증 유발해 생명의 위협까지 이어질 수도

Q. 전동킥보드 사고 주의보? 전동킥보드 주행 중 사망사고 낸 30대 공무원 벌금형 최근 3년 전동킥보드 사고로 5570명 부상·55명 사망 전동킥보드 사고 5년 만에 20배가량 증가

Q. 무면허 전동킥보드 단속 건수 증가? 공유킥보드 이용자 증가하지만 면허 인증 강제 안 해 개인형 이동장치 무면허 운전 단속 건수 3만1934건 16세 이상이면서 원동기 면허 이상 보유자여야

Q. 전동킥보드 사고 예방요령은? 전동킥보드 타던 대학생 머리 다쳐 숨지는 사고 발생 안전모 착용하고 두 명 이상 탑승하면 안 돼 음주 시 운행 자제하고 자전거 도로로 다녀야

Q. 전동킥보드 사고 예방대책은? 제한속도 하향 등 전동킥보드 안전규격 강화해야 장기적으로 자전거 도로 인프라 확충해야 대여 업체가 킥보드 면허 의무적으로 확인해야

Q. 전동킥보드 화재 주의보? 전동킥보드 화재 2021년 이후 증가 추세 과충전·과열·접촉 불량·물리적 충격으로 화재 발생 전동킥보드 내장 배터리 '인화성 액체' 사용하기 때문

Q. 전동킥보드 화재 예방요령은? 충전 시간 확인하여 장시간 충전하지 않아야 습기 많거나 온도 높은 장소에서 장시간 보관 말아야 KC 인증마크·과충전 방지회로 적용 제품 여부 확인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