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귤레이션 G 주도하는 전설 포켓몬 톱5

최은상 기자 2024. 5. 7. 19: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흥 강자와 전통의 강호가 상위권에서 격돌하는 '전설룰' 첫 시즌 시작

전설의 포켓몬을 랭크배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즌 18 '레귤레이션 G'가 시작됐다. 1세대 전설 '뮤츠'부터 9세대 신규 전설 '미라이돈', '코라이돈'을 포함한 총 27마리의 포켓몬이 대상이다. 

9세대 들어와 일반, 혹은 준전설이 전설의 포켓몬 스펙과 맞먹을 정도로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진행된 만큼 상위 구간의 채용률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평균적인 포켓몬의 스펙이 한층 올라가면서 기술 하나 하나가 강력한 소위 '죽창' 메타의 시대가 왔다.

채용률은 엇비슷하지만 전설의 포켓몬이 투입되고 죽창 메타로 환경이 변화하며 파티 주축이 되는 포켓몬에는 변화의 바람이 불어왔다. 이와 함께 기존에 쓰이는 포켓몬의 노력치나 기술 배치도 함께 바뀌었다.

포켓몬 홈의 통계는 모든 티어 구간의 사용률을 집계하는 만큼, 최상위권 선호도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시즌이 종료되면 최종 순위 300등 내 유저들의 파티를 분석해 별도의 상위권 통계를 만들기도 한다.

구간 별 사용률이 아닌 전 구간를 보여주기 때문에 명확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초반 메타와 흐름을 살피기엔 매우 적합한 자료다. 특히, 새로운 포켓몬이 환경에 들어오는 신규 레귤레이션이 적용되는 시즌에 더욱 유용하다.

완전히 새로운 포켓몬이 들어오는 만큼 초반 메타를 주도하는 포켓몬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덕분이다. 전설의 포켓몬이 들어온 9세대 환경은 어떤 양상일까. 시즌18 초반 메타를 주도하는 전설의 포켓몬 채용률 톱 5를 정리해봤다.

- 레귤레이션 G 포켓몬 채용률 (자료 : 포켓몬 홈)

 

■ 코라이돈 "뛰어난 자체 성능과 '날개치는머리'와의 시너지" 

스칼렛 바이올렛 버전 출시부터 전설룰 1황으로 기대를 모았던 '코라이돈'이 전설 채용률 1위, 전체 4위에 올랐다. 우수한 능력치와 깔끔한 종족값 분배는 물론, S급 특성 '진홍빛 고동'과 함께 환경 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고성능 고대 패러독스 포켓몬이 많은 덕분이다.  

참전 이후부터 쭉 최상위권을 유지한 '날개치는머리'와 궁합이 매우 좋다. 진홍빛 고동으로 등장 시 필드에 쾌청을 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고대활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다소 애매한 공격력도 특성으로 1.3배 상승 효과를 받아 보완이 가능하다.

상대가 사용하는 날개치는머리에 대한 부담도 있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좋은 포켓몬이다. 테라스탈과 궁합이 매우 좋은 덕분이다. 코라이돈은 격투/드래곤으로 4배 약점 1개, 2배 약점 4개로 약점이 많아도, 이를 테라스탈로 상쇄할 수 있다.

9세대 최흉 포켓몬이라고 불린 '망나뇽'도 약점이 많지만, 테라스탈로 지울 수 있어 사용률이 높은 것과 비슷한 이치다. 테라스탈이 반 강제적으로 필요한 것이 단점이지만, 워낙 기술 위력이 강력하고 시너지가 뛰어난 만큼 꾸준히 활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 흑마 버드렉스 "어지간한 포켓몬은 다 잡는 초고화력 전설"

8세대 전설룰을 호령한 포켓몬 중 하나인 '흑마 버드렉스'가 9세대에서도 강력한 면모를 뽐내는 중이다. 죽창 메타를 대표하는 강력한 한 방을 지닌 전설 중 하나다. 특공 종족값 165로 레귤레이션 내 '화이트 큐레무'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순위다. 스피드도 150으로 '레지에레키' 다음으로 빠르다.

특성 역시 S급으로 뛰어나다. 승마 상태의 '흑의 울음'은 상대를 쓰러뜨릴 때마다 특공이 1.5배 상승한다. 워낙 기본 스펙이 탄탄한 만큼 기점을 허용한 순간 반감도 뚫어낼 정도로 강력해진다. 단독으로 풀스윕이 가능할 정도다. 

두 번째 특성인 '긴장감'으로 상대 포켓몬의 열매를 봉인해 상대의 반감 열매조차 무시하고 일격에 쓰러트릴 수 있다. 전용기 '아스트랄비트' 역시 명중 100, 위력 120으로 굉장히 우수하다. 고스트 타입이라 일관성도 매우 좋고, 우수한 변화기도 다수 배운다.

상대에게 특정 포켓몬의 선출을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메리트가 있다. 풀스윕이 가능한 포켓몬인 만큼 스토퍼의 선출이 강제된다. 물론 만능은 아니다. 공격 성능이 우수한 반면, 내구는 약한 편이라 불리한 대면에서 쉽게 무너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 미라이돈 "단독 성능 하나만큼은 압도적이나 범용성은 부족"

코라이돈과 함께 9세대 표지를 담당한 전설의 포켓몬 '미라이돈'은 전설 중 3위, 전체 11위에 올랐다. 코라이돈과 달리 미라이돈은 시너지를 내는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의 성능이 대체적으로 떨어져 단독 활약에 의존해야 하는 탓에 순위가 떨어진다.

개별 성능은 뛰어나다. 도구의 자유성과 특성 '일렉트릭 필드'의 버프 효과로 압도적인 화력을 보유한다. 조심 CS 풀보정에 구애안경, 자속 테라스탈 사용 시 전용기 '라이트닝드라이브'의 결정력은 10만이 넘는다.  

내구는 무보정 기준 물리 약 5만1000, 특수 약 5만7000으로 약점을 제외한 환경 내 고화력기 한 번은 버틸 정도의 수준이다. 흑의 울음이 발동되지 않은 흑마 버드렉스의 아스트랄비트를 난수 1타로 버틴다. 다만, 미라이돈도 코라이돈과 마찬가지로 방어 상성이 좋지 않아 테라스탈이 강제된다. 

여타 전설의 포켓몬과 달리 순위가 내려갈 여지가 있다. 레귤레이션 G의 룰 상 전설은 파티에 딱 1마리밖에 넣지 못하는데, '날뛰는우레' 등 미라이돈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포켓몬도 순위권 내 존재하는 탓이다. 

 

■ 칠색조 "방어 특화 사이클 파티의 핵심 전설"

'칠색조'는 재생력 사이클 파티를 대표하는 전설의 포켓몬이다. 높은 내구도와 준수한 대미지, 50% 확률로 화상을 거는 전용기 '성스러운 불꽃', 우수한 특성 '재생력'을 바탕으로 매 세대마다 탄탄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특방은 154로 레귤레이션 내 가장 높은 순위다. 특방이 워낙 높은 만큼 8세대까진 HB 기반에 돌격조끼를 도구로 사용한 반면, 9세대에서는 확실히 막기 위해 HD 기반에 '통굽부츠'를 사용한다. 정수 대미지의 중요성이 올라가 '스텔스록' 빈도가 워낙 높아졌다.

방어에 특화된 전설인 만큼 배틀팀에 함께 포함되는 포켓몬도 여타 전설과는 다르다. 화력을 서포팅하는 포켓몬과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딜 포켓몬과 달리 '랜드로스', '맘복치', '총지엔', '더시마사리' 등 사이클을 돌리는 포켓몬과 주축을 이룬다.

바위 4배인 불꽃 비행 타입을 보유한 만큼 테라스탈과의 궁합도 좋다. 바위 약점을 지우면서도 불리 대면을 유리 대면으로 바꿀 수도 있다. 높은 사용률과 별개로 사이클 파티는 한 번에 실수가 패배로 직결되는 고난도 파티인 만큼 운영에 주의가 필요하다.

 

■ 자시안 "전례없는 3단 너프에도 준수한 화력 보유"

부자가 망해도 3년은 가는 법이다. 8세대 전설룰 도입 후 부동의 1위를 유지한 '자시안'은 9세대 들어와 종족값, 특성, 기술 3단 너프를 받았다. 하지만 전설 채용률 5위, 전체 22위에 오르며 여전히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다.

9세대 자시안은 극보정을 해야 전작의 명랑 자시안과 결정력이 같아질 정도로 너프가 심했다. 또한, 특성 '불요의 검'이 배틀 중 한 번만 발동되도록 변경돼 사이클 성능이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자시안 역시 테라스탈의 수혜를 받으며 활약 중이다.

테라스탈을 통해 자시안이 대응하기 어려웠던 일부 강철 타입 포켓몬 및 불꽃 타입 포켓몬을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더욱이 테라스탈을 하더라도 기존 타입의 자속 보정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순간 화력을 절대 무시할 수 없다. 특성 너프로 두 번째 등장부터 화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도 말이다. 스텔라 테라스탈과 궁합도 좋다.

아울러 9세대부터는 포켓몬 선택창에서 아이템 구분을 할 수 없게 변경되어 '녹슨 검'이 아닌, 다른 도구를 사용해 변칙적인 운용을 할 수 있게 됐다. 물론 이는 이론에 그친다. 불요의 검 발동에 필요한 녹슨 검 채용률은 98%로 다른 도구는 거의 선택받지 못하고 있다.

anews9413@gametoc.co.kr

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