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환자 65% 진료 미뤄져…교수 ‘주1회 휴진’ 거둬달라”

천호성 기자 2024. 5. 7.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이후 정상 진료를 받은 췌장함 환자가 10명 중 3명에 그쳤다는 환자 단체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의-정이 의대 정원 증원 등에 따른 갈등을 멈추고 환자 진료 정상화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협의회는 이날 입장문에서 "중증 암환자들은 진료 공백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으로 지쳐가고 있다"며 "정부와 의료계는 공허한 싸움을 중단하고 환자 치료 대책을 우선 논의하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췌장암환우회 환자 189명 설문조사
정상진료는 34.9% 뿐
의대증원안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환자가 머리를 짚고 있다. 연합뉴스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이후 정상 진료를 받은 췌장함 환자가 10명 중 3명에 그쳤다는 환자 단체 설문 결과가 나왔다. 환자들은 환자 안전을 우선에 두고 정부와 의료계가 대치를 멈출 것을 촉구했다.

7일 한국췌장암환우회가 지난달 24∼28일 췌장암 치료 중인 전국 30∼80대 췌장암 환자 189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이들 중 123명(65.1%)은 외래 진료나 입원, 항암 치료 등 한가지 이상의 진료가 미뤄졌다. ‘정상적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답한 사람은 66명(34.9%)이었다.

피해 사례로는 외래 진료 지연이 34명(중복 응답·18.0%)으로 가장 많았고, 병원이 신규 환자를 다른 의료기관으로 전원하는 등 진료하지 않은 경우가 23건(12.2%)으로 뒤를 이었다. 항암 치료가 1주일 이상 미뤄지거나, 입원하지 못하고 집에서 항암제를 맞는 이른바 ‘가방 항암’(가방을 싸고 다니며 직접 병세를 관리한다는 뜻)도 각각 22건(11.6%)이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의-정이 의대 정원 증원 등에 따른 갈등을 멈추고 환자 진료 정상화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이 밝힌 주 1회 휴진 계획도 철회해 달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이날 입장문에서 “중증 암환자들은 진료 공백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으로 지쳐가고 있다”며 “정부와 의료계는 공허한 싸움을 중단하고 환자 치료 대책을 우선 논의하라”고 밝혔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