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만원 넘는 친환경택배차… 업계 "보조금 늘려야"

장우진 2024. 5. 7. 15: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 택배용 전기상용차
ST1 출시가격 '최고 7195만원'
보조금 받아도 일반EV보다 비싸
"1000만원대 가격差, 업자에 부담"
현대자동차 ST1.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기아와 CJ대한통운 등 국내 대표 택배사들이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등 전기 상용차 보급 확대를 위해 손을 잡았지만, 현재의 보조금 제도로는 전환에 속도를 내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PBV 특성상 차량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는데, 생계형이 대부분이라 많은 비용을 부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업계에서는 탄소저감·스마트 물류 구축을 위해서는 PBV의 빠른 확산이 필수인 만큼,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CJ대한통운, 롯데그룹, 한진택배, 이케아 등 국내 주요 택배 업체들과 협업을 통해 지난달 말 PBV 모델인 ST1을 선보였다. 이는 택배에 최적화된 차량으로 가격은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혜택 전 기준 카고 5980만~56360만원, 카고 냉동은 6815만~7195만원이다.

이 모델의 정부 보조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포터·봉고EV과 비슷한 선에서 정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서울시 기준으로 정부 보조금은 국고(1050만원)에 지자체(381만원)를 더해 약 1400만~1500만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만큼, 카고 모델은 4000만원 중후반대, 보조금 규모가 200만원가량 많은 카고 냉동 모델은 5000만원 중반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 포터EV의 경우 일반 냉장탑차 가격이 4000만원 후반대로 ST1 카고 모델보다 1000만원가량 저렴하다. 보조금까지 더하면 30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ST1의 경우 라스트마일(배송 마지막 단계) 등 택배에 최적화 돼 개발했지만,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GS글로벌이 수입·판매하는 중국 BYD의 1톤 전기차 T4K가 기대만큼 인기가 없는 것도 포터·봉고EV 대비 높은 가격대가 이유로 꼽힌다.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차보다 저렴한 유류비가 강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일반 택배차량은 주행거리가 그리 길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택시와 달리 유류비 강점이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국내 1위 택배사인 CJ대한통운의 경우 택배기사 2만6000여명 중 직고용은 1000여명 수준이며 나머지는 지입기사로 알려졌다. 직고용의 경우 택배사가 일정 부분 부담할 여지가 있다 하더라도 지입기사에게는 회사 측에서 따로 보조금을 지원할 명분이 없다. 지입기사들은 계약 종료 등에 따라 타사 대리점으로의 이동이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다고 자동차 제조사 입장에서 차량 가격을 낮추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ST1을 포함해 기아가 도전적으로 제시한 PBV 모델은 특정 수요에 맞춤 제작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여서 대량 생산모델과 직접적인 가격 경쟁은 버겁다.

김우석 현대차 국내상품운영2팀장은 지난달 23일 인천 송도서 열린 ST1 미디어 설명회에서 "ST1은 주요 라스트 마일 업체들과 개발 초기부터 긴밀히 협업해 물류 업체의 페인 포인트(불편사항)를 발굴하는데 주력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했다"며 "ST1은 단순 택배와 물류뿐 아니라 스마트팜 등 다른 확장된 비즈니스까지 가능해 포터와 다른 고객들이 존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아는 내년 첫 PBV인 PV5를 출시할 예정으로, ST1의 동향에 따라 가격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첫 PBV인 만큼 가격을 낮추기 위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선택을 하기도 모호하다. 기아는 올해 초 미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 CJ대한통운, 쿠팡, 카카오모빌리티 등과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업계에서는 상용 전기차에 한해 정부가 더 공격적으로 보조금을 책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부가 상용차에 대한 보조금은 승용보다 높게 책정하고 있고 올해 보조금 정책에서는 저가 중국산에 대해 견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상용 전기차 전환의 사회적 영향을 감안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ST1은 차고·상하차 높낮이부터 연료 효율과 배기가스 배출 문제 등 기존 택배차량의 단점을 해소하는 부분이 많다"며 "주행 거리를 짧게 하더라도 배터리 용량을 줄이고 가격을 낮춰 우선 보급을 늘리는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 차원의 보조금 확대는 특정 기업에 대한 혜택을 준다는 반발이 나올 수 있다"면서도 "전체 택배 차량의 전기차 전환에 따른 사회 전반의 영향을 등을 고민해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현재 1톤 전기트럭에 대한 보조금은 일반 전기차에 비해 보조금을 더 많이 주고 있다"며 "소형 상용차는 생계형인 경우가 많고 운행거리가 긴 만큼 환경 개선 등을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우진·이상현·임주희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