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률 상위 10%' AI 논문, 중국과학원이 세계 최다

김인엽 2024. 5. 6. 18: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 분야 논문 수로 미국을 제친 중국이 인용 건수에서도 선두를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미국 조지타운대 안보·신기술센터(CSET)에 따르면 2017년부터 5년간 인용률 상위 10%에 든 AI 논문을 가장 많이 작성한 기관은 중국과학원(408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년간 중국 기관들이 AI 논문을 가장 많이 내놨지만 논문의 질은 낮고 미국·유럽 연구자들이 내놓은 연구 결과를 응용하는 데 그쳤다는 학계 평가와 상반된 주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조지타운대 조사
일각선 "中 기관끼리 인용"

인공지능(AI) 분야 논문 수로 미국을 제친 중국이 인용 건수에서도 선두를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미국 조지타운대 안보·신기술센터(CSET)에 따르면 2017년부터 5년간 인용률 상위 10%에 든 AI 논문을 가장 많이 작성한 기관은 중국과학원(408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3086건), 중국 칭화대(2851건), 미국 스탠퍼드대(2208건), 매사추세츠공대(MIT·2179건)가 뒤를 이었다. 영어 논문만 조사한 결과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3만4036건으로 인용률 상위 10%인 논문이 가장 많았고 중국이 2만9229건으로 바짝 뒤쫓았다. 영국(9153건), 독일(5932건), 호주(4706건)도 상위 5개국에 이름을 올렸다. 전체 논문 수는 중국이 23만403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17만2621건), 인도(5만3907건), 영국(4만6737건), 독일(3만8464건) 순이었다.

분야별로 보면 로봇공학, 컴퓨터비전 연구에서는 중국 논문이 더 많았고 자연어처리, AI 안전 연구에서는 미국이 앞섰다.

재커리 아널드 CSET 책임분석가는 “중국은 AI 연구 분야에서 절대적인 세계 선두 주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지난 몇 년간 중국 기관들이 AI 논문을 가장 많이 내놨지만 논문의 질은 낮고 미국·유럽 연구자들이 내놓은 연구 결과를 응용하는 데 그쳤다는 학계 평가와 상반된 주장이다. 다만 중국 연구자들이 논문을 상호 인용하는 사례가 많아 인용률만 보고 논문 질을 따지기는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2022년 세계 AI 논문 발행 건수는 28만2000건으로 5년 전보다 1.2배 증가했다. 주제별로는 컴퓨터비전 연구 비중이 32%로 가장 높았고 로봇공학과 자연어처리가 각각 15%, 11%를 차지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