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남을 만한 수준"…日 엔화 반전 상승설 [김일규의 재팬워치]

김일규 2024. 5. 6. 0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정부의 환율 개입으로 추정되는 엔화 매수가 '슈퍼 엔저'에 일단 제동을 걸었다.

지난 3주간 엔·달러 환율 흐름은 일본 통화 역사에 남을 만한 수준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일본 정부가 개입한 것이 사실이라면 엔화 가치를 미국 장기금리에 맞는 수준까지 되돌려 놓은 것이다.

미국 모건스탠리는 일본 정부의 이번 '개입'을 계기로 엔화의 반전 상승을 예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슈퍼 엔저' 일단 제동, 달러당 152엔 복귀
일본 당국 두 차례 시장 개입 효과
"미·일 금리차 줄어들 가능성 높아져"
근본 문제는 미국 재정 확대 정책
"인플레 잡는 데 시간 더 걸릴 것"

일본 정부의 환율 개입으로 추정되는 엔화 매수가 ‘슈퍼 엔저’에 일단 제동을 걸었다. 지난 3주간 엔·달러 환율 흐름은 일본 통화 역사에 남을 만한 수준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통화당국은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에 희망을 걸고 있다. 일본 당국과 시장의 힘겨루기는 당분간 계속되겠지만, 엔저 국면 반전에 희미한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4월 하순까지만 해도 엔화 약세는 미국 물가 지표 상승세에 따라 미국 장기금리가 오른 영향이 컸다. 미국 장기금리가 상승할 때마다 엔·달러 환율도 치솟으며 둘은 대체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미국 장기금리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엔화가 약세를 보인 것은 지난달 26일 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 이후다. 일본은행이 엔저 대응에 나설 것이란 기대가 무산되면서 투기적 엔 매도세가 확산했다. 달러당 160엔을 넘어서자 결국 일본 재무성이 나섰다. 시장은 5조엔이 넘는 엔 매수 개입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일엔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상 재개 가능성을 부인하자 엔 매도세가 약해지기 시작했다. 이 틈을 노린 일본 당국이 다시 대규모 엔 매수 개입에 나섰다는 관측이 확산했다. 3조엔 이상 쓴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3일에는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밑돌자 엔 매수세가 확대됐다. 엔·달러 환율은 엔저가 가속화되기 직전까지 하락했다. 달러당 152엔 안팎 수준으로 복귀했다. 앞서 일본 정부가 개입한 것이 사실이라면 엔화 가치를 미국 장기금리에 맞는 수준까지 되돌려 놓은 것이다.

시장의 관심은 지금부터다. 미국 모건스탠리는 일본 정부의 이번 ‘개입’을 계기로 엔화의 반전 상승을 예상했다. 닛케이지수는 올해 들어 14%가량 상승했지만, 달러 환산으로는 5% 오르는 데 그쳤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3일 메모에서 이 ‘비정상적으로 큰’ 격차가 향후 좁혀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Fed가 양적 긴축(QT) 속도를 줄이기로 한 것도 긍정적이다. 미국 장기금리 상승세가 멈추고,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가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엔저 대응에 고심하는 일본은행도 7월에는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 노동시장과 물가 지표가 뚜렷하게 둔화세로 돌아서면 엔화 반전 상승설은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씨티그룹은 3일 보고서에서 “노동시장 지표가 향후 몇 달간 약세를 보일 것”이라며 Fed가 7월부터 금리 인하를 시작해 연말까지 총 1.0%포인트를 낮출 것이라는 비둘기파 전망을 유지했다.

일본이 우려하는 것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배경에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 확장 정책이 있다는 점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4월 발표한 ‘재정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 이후 적극적 재정이 낳은 누적된 ‘재정 충격’이 2023년 미국 물가 상승률을 0.5%포인트가량 끌어올렸다.

공급 제약이나 ‘보복 소비’ 등 다른 영향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재정 요인은 최근에도 물가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만약 재정 충격이 없다면 1~3월 물가 상승률은 2%대 중반으로 Fed 목표치에 근접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Fed의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진짜 ‘적’은 재정 정책”이라며 “미 대선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미 의회가 재정 건전화로 뭉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엔저에 맞서는 일본 당국에 희미한 빛이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당국의 승리로 단정 짓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