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고철꽃’ 제작… 美현대미술 거장 스텔라 별세

이재연 2024. 5. 6.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추상화가이자 조각가인 프랭크 스텔라가 4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자택에서 림프종으로 별세했다.

1936년 미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난 그는 23세에 어두운 색상의 줄무늬를 반복적으로 구성한 '블랙 페인팅' 시리즈를 뉴욕 현대미술관에 전시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등장은 그간 빌럼 더코닝, 잭슨 폴록 등 다채롭고 활력 넘치는 추상 작가들이 지배하던 뉴욕 미술계에 도전과 같은 현상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랭크 스텔라. 연합뉴스

미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추상화가이자 조각가인 프랭크 스텔라가 4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자택에서 림프종으로 별세했다. 88세.

1936년 미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난 그는 23세에 어두운 색상의 줄무늬를 반복적으로 구성한 ‘블랙 페인팅’ 시리즈를 뉴욕 현대미술관에 전시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등장은 그간 빌럼 더코닝, 잭슨 폴록 등 다채롭고 활력 넘치는 추상 작가들이 지배하던 뉴욕 미술계에 도전과 같은 현상이었다.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연합뉴스

1990년대에 조각, 공공예술로 지평을 넓힌 그는 한국에는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앞의 철골 조형물 ‘아마벨’(꽃이 피는 구조물·1997)로 잘 알려져 있다. 산업사회의 부산물인 비행기 잔해 수백 점을 모아 만든 작품은 멀리서 보면 한 송이 꽃의 형상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금속 덩어리 정도로 보이는 탓에 ‘십수억짜리 쓰레기’라고 불리며 예술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미니멀리즘 운동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 색상과 구조, 형상 등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으로 여전히 현대미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색상과 형태를 끈질기게 탐구한 혁신가”로 그를 회고했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