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유대 민족 간 원한 ‘이·팔 분쟁’의 출발점은…

이강은 2024. 5. 4.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언제 전쟁이 벌어져도 이상하지 않고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현대적 분쟁'의 기원을 샅샅이 해부한 책이다.

저자는 팔레스타인에서 함께 살던 아랍·유대 민족 간 질긴 원한과 분쟁의 출발점을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이 아니라 1936년 발생해 3년 동안 지속된 '아랍 대봉기(Great Revolt)'로 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1936 오렌 케슬러/ 정영은 옮김/ 위즈덤하우스/ 2만8000원

언제 전쟁이 벌어져도 이상하지 않고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현대적 분쟁’의 기원을 샅샅이 해부한 책이다.

저자는 팔레스타인에서 함께 살던 아랍·유대 민족 간 질긴 원한과 분쟁의 출발점을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이 아니라 1936년 발생해 3년 동안 지속된 ‘아랍 대봉기(Great Revolt)’로 본다.
정영은 옮김/ 위즈덤하우스/ 2만8000원
책에 따르면, 1936년 봄 팔레스타인 전역에서는 유대인 공동체와 시온주의(팔레스타인 땅에 유대 국가를 세우려는 유대민족주의 운동)에 우호적이던 영국 위임통치 당국을 겨냥한 봉기가 일어났다. 당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경쟁 관계의 가문, 도시와 농촌, 부자와 빈자 할 것 없이 모두 독립을 위해 하나로 뭉쳤다. 무장 투쟁과 장기간 파업뿐 아니라 아랍인 마을에서는 대봉기 기간 내내 비공식적으로 유대인 상점과 손님에 대한 불매·판매거부 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영국의 무력 진압과 시온주의자들의 반격으로 아랍 측에 사망 8000명과 중상 2만명, 난민 4만명 등 막대한 피해를 남긴 채 봉기는 1939년 종료됐다. 아랍 팔레스타인의 전투력은 무력화됐고, 경제는 초토화됐으며, 유력 정치 지도자들은 추방됐다.

유대 진영에도 500여명 사망자와 1000명가량 부상자가 발생했지만, 유대인들은 대봉기를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활용했다. 아랍의 불매운동을 ‘자급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유대인 농업과 시온주의 금속·무기 산업 등 발전 기회로 활용했고, 유대 정착촌을 지키던 어설픈 무장단체 하가나를 영국군 지원으로 정예화한 게 대표적이다. 아울러 3년간 단 한 곳의 정착촌도 포기하지 않았고, 오히려 ‘벽과 탑’ 사업으로 전략적 요충지에 60개의 정착촌을 추가로 건설했다. 그렇게 10년 후 유대 민족의 염원인 이스라엘을 팔레스타인 땅에 세운다.

5년간 3개 대륙과 3개 언어를 넘나든 광범위한 기록 연구를 바탕으로 한 책에는 대봉기 당시 아랍·유대·영국 세력 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핵심 인물들의 행동과 판단이 생생하게 소개돼 현장감 있게 읽힌다.

이강은 선임기자 kele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